예술의전당 "확진되면 인사 불이익"…정부 "책임 개인에 묻는 것, 부적절"

입력 2022-03-05 08:57:35

예술의전당 전경. 예술의전당 블로그 캡처
예술의전당 전경. 예술의전당 블로그 캡처

예술의전당이 직원들에게 "코로나19에 확진되면 인사상 불이익을 줄 수 있다"는 문자를 보내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예술의전당 측이 이에 대해 사과했다.

문화계 대표적 공공기관이자 국내 최대 종합예술시설인 예술의전당은 지난달 26일 경영본부장 명의로 전 직원에게 "코로나19에 감염되고, 그 원인이 개인위생 부주의로 파악될 경우 엄중한 경고와 함께 인사 불이익까지 고려하고 있다"는 내용의 메시지를 보냈다.

코로나19 확산 방지라는 취지를 고려하더라도 감염 책임을 개인에게 돌리는 것은 부당하다는 비판이 나왔고, 논란이 커지자 경영본부장 A씨는 지난 2일 열린 사내 회의에서 문자메시지에 대해 공식 사과하고, 직원들에게 "실제 경고와 인사 불이익은 전혀 생각하고 있지 않다"며 사과 문자를 보냈다.

이와 관련해 예술의 전당 관계자는 "해당 문자에서 언급된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인사상 불이익은 내부적으로 전혀 논의된 바가 없다"며 "코로나 확산세가 심각한 만큼 직원들에게 경각심을 주고자 메시지를 보냈는데, 표현상의 실수가 있었다"고 해명했다.

정부도 개인에게 확진 책임을 전가하는 것이 부적절한 처사라는 입장을 밝혔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4일 정례브리핑에서 "개별 기업·기관이 감염에 대한 책임을 개인에게 주는 것은 현재 방역적으로, 과학적으로 볼 때 올바르지 않다"고 밝혔다.

이어 "현재와 같이 유행이 크게 확산이 되고 다수 확진자가 나오는 시기에서는 유행에 감염되는 원인이 본인의 문제 탓인지 혹은 주변의 다른 요인에 의한 것인지 구별하기 쉽지 않다"며 "과학적으로 볼 때 언제 어디서 감염되더라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감염에 대한 귀책사유를 개인에게 묻는 것은 과학적으로 볼 때에도 타당하지 않고, 귀책사유가 성립되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