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등 4곳 기자협회, 대구 2·28민주의거 기념탑 참배

입력 2022-02-28 15:01:32 수정 2022-02-28 15:18:58

"대구 2.28 이어 경남 마산창원 3.15, 제주 4.3, 광주 5.18 기념 행사 통해 교류"

광주전남·대구경북·제주·경남울산 등 4개 지역 기자협회 임원 10여명은 62주년 2·28 민주운동 기념일인 28일 오전 11시 대구 달서구 두류공원 2·28 민주의거 기념탑을 찾아 참배했다. 대구경북기자협회
광주전남·대구경북·제주·경남울산 등 4개 지역 기자협회 임원 10여명은 62주년 2·28 민주운동 기념일인 28일 오전 11시 대구 달서구 두류공원 2·28 민주의거 기념탑을 찾아 참배했다. 대구경북기자협회

광주전남·대구경북·제주·경남울산 등 4개 지역 기자협회 임원 10여명은 62주년 2·28 민주운동 기념일인 28일 오전 11시 대구 달서구 두류공원 2·28 민주의거 기념탑을 찾아 참배했다.

대구경북기자협회(회장 진식)가 주최·주관한 이날 행사는 전국 언론인에게 2·28 민주운동의 역사적 의의와 숭고한 정신을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이는 한국 현대사 왜곡에 공동으로 대처하기 위해 지난해 4곳 기협이 체결한 업무협약의 일환이기도 하다.

진식 대구경북기협 회장은 "대구 2.28민주운동을 시작으로 향후 경남 마산창원 3.15의거, 제주 4.3사건, 광주 5.18민주화운동 기념 행사를 통해 4개 지역 기협이 교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2·28민주운동은 1960년 경북고 등 대구 지역 8개 학교 학생 1천700여명이 이승만 독재 정권에 맞서 자발적으로 일으킨 광복 이후 최초의 민주적 저항 운동이다. 4·19혁명의 도화선이자 10대 학생들이 주도한 한국 민주화 운동의 효시로 평가된다.

당시 2·28민주운동에 참가한 학교는 경북고, 대구고, 사대부고, 대구상고(현 대구상원고), 대구농고(현 대구농업마이스터고), 대구공고, 경북여고, 대구여고 등이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지난 2016년부터 상생협력 과제로 2·28민주운동의 국가기념일 지정을 추진, 같은 해 100만 서명운동을 전개했다. 이어 2018년에 2·28 민주운동 기념일이 국가기념일로 제정·공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