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로공사, 탄소배출량 50% 낮춘 콘크리트 개발

입력 2022-02-25 12:42:52

제설염해 등 내구성도 높아
올해부터 건설중인 고속도로 현장 확대적용 예정

고로슬래그 분말의 생성과 재활용 과정(예시). 한국도로공사 제공
고로슬래그 분말의 생성과 재활용 과정(예시). 한국도로공사 제공

한국도로공사(이하 도로공사)는 기존 콘크리트 대비 탄소배출량을 50% 저감할 수 있는 저탄소 콘크리트 표준배합 개발에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저탄소 콘크리트는 기존 콘크리트에 포함되는 시멘트의 50%를 철강산업에서 발생되는 산업부산물인 고로슬래그 미분말로 대체한 제품이다.

저탄소 콘크리트는 시공성 및 역학적 특성이 확보되는 범위 내에서 주 생산 원료인 시멘트 사용량을 줄여 시멘트 제조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최소화하기 위해 추진됐다.

도로공사에 따르면 저탄소 콘크리트 표준배합은 지난 2016년부터 부산 외곽순환고속도로 진영IC 1교 등 10개 교량의 난간방호벽 등에 시험 시공한 결과를 토대로 개발됐고, 일반콘크리트와 비슷한 수준의 강도를 가지면서도 제설염해 저항성 등 내구성 면에서는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번에 개발된 저탄소 콘크리트 경우 내부 조직이 견고해 염분의 침투속도를 줄이는 효과가 있어, 일반 콘크리트 대비 수명이 4배 이상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저탄소 콘크리트의 주 원료인 고로슬래그 가격이 기존 시멘트의 70% 수준으로 경제적으로도 유리한 것으로 평가됐다.

도로공사는 저탄소 콘크리트 표준배합을 올해부터 건설중인 고속도로 현장에도 확대 적용할 예정이고, 장대교량 등에서 사용할 수 있는 특수목적용 저탄소 콘크리트 개발도 올해말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도로공사 관계자는 "저탄소 콘크리트를 전체 고속도로 현장에 적용할 경우 연간 약 42만톤의 탄소배출량 감소가 가능하고 이는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사례가 될 것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