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폭증에…김 총리 “확진자 수만 갖고 두려움·공포감 가질 이유 없어”

입력 2022-02-23 09:19:31 수정 2022-02-23 09:52:54

"위중증·사망 안정되면 '거리두기' 큰틀 개편"

김부겸 국무총리가 23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부겸 국무총리가 23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부겸 국무총리는 23일 "아직은 오미크론이 정점을 향해 치닫고 있지만, 위중증과 사망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판단이 서면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정책도 큰 틀에서 개편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 모두 발언을 통해서다.

김 총리는 "지금 우리는 일상회복의 마지막 고비가 될 오미크론과 싸우고 있다"며 "현재까지 2년간 누적된 확진자 200만명 중 절반인 100만명이 최근 15일간에 집중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질병관리청이 확인한 바에 따르면 오미크론의 치명률과 중증화율은 모두 델타 변이의 1/4 수준, 계절독감에 비해서는 약 2배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며 "특히, 50대 이하로 내려갈수록 위험도가 급격히 낮아지고, 3차 접종을 마친 경우 계절독감 수준 이하로 감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 우리가 상대하고 있는 오미크론의 실체는 이제 분명해졌다"며 "이에 맞게 방역·의료 체계를 전면 개편하는 일도 마무리돼 실행과 안착 단계에 와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제 남은 것은 새로운 방역상황을 정확히 인식하고, 방역당국과 국민 모두가 이에 맞게 행동을 바꾸어 나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감염원을 하나하나 찾아내고, 전파 가능성이 있는 모든 사람을 격리하는 등의 이전 방식으로는 오미크론을 쫓아갈 수 없는 만큼 고위험군에 의료역량을 집중해 위중증과 사망을 최소화하겠다는 것이다. 또 병상 확충, 3차 접종, 먹는 치료제 등의 대응책도 내놓았다.

김 총리는 "나머지 확진자들도 생활의 제약을 최소화하면서, 안전하게 회복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며 "재택치료 확대와 세심한 안내·상담·치료가 관건"이라고 진단했다.

국민들을 향해선 "자신감을 가지셔도 좋다"며 "방역에 대한 경각심과 방역수칙 이행이 느슨해져서는 안되겠지만, 과거와 같이 확진자 수만 가지고 두려움이나 공포감을 가질 이유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오미크론 확진자수가 전날 기준 15만명 대로 치솟았지만, 관리가 가능하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면서 "우리 정부가 결정하고 실행하고 있는 방향에 대해 믿음을 갖고, 차분한 마음으로 방역에 힘을 보태주실 것을 간곡히 요청드린다"고 당부했다.

김 총리는 또 "감염병 위기경보를 '심각' 단계로 올리고, 중대본을 출범한 지 오늘로 정확히 2년이 지났다"며 방역에 헌신한 의료진과 공직자, 국민들에게 감사를 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