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21일 0시 기준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205만8천184명이 됐다. 이 추세대로라면 주 중반 확진자가 폭증해 3월 초엔 누적 확진자가 300만 명에 도달할 전망이다. 재택치료 대상자는 46만9천384명으로 50만 명에 육박하는 등 폭증세다.
재택치료자 중 사망 사례가 속출하면서 국민 불안이 확산하고 있다. 확진 후 재택치료를 받던 7개월 영아가 발작 증세를 일으켰지만 인근 지역 내 병상을 확보하지 못해 뒤늦은 병원 이송 중 숨졌다. 50대 남성이 확진 후 재택치료 배정도 받기 전에 홀로 숨졌고, 70대 남성이 확진 후 재택치료를 받던 중 사망했다. 무증상·경증으로 재택치료 판정을 받았다가 상태가 급변해 사망하는 경우가 잇따르고 있다.
정부는 이달 10일부터 코로나 재택치료 시스템을 60세 이상 등 집중관리군 중심으로 전환했다. 이들에게만 건강 모니터링과 치료 키트를 제공하고, 경증·무증상 확진자 등 일반 재택치료자에 대해선 스스로에게 건강관리를 맡겼다. 결국 정부의 관리망에서 벗어난 일반관리군 환자들이 응급 상황 발생 시 의료기관 연계 등 적절한 조치를 받지 못하면서 사망하는 일이 빈발하고 있다. '셀프 치료'를 해야 하는 일반관리군 중 상태가 급변해 사망으로까지 이어지는 경우가 속출하면서 "재택치료가 아니라 재택 방치"라는 지적까지 나온다.
정부가 충분한 준비 없이 방역 체계부터 바꾸다 보니 곳곳이 허점투성이다. 이런 와중에 전해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2차장은 "오미크론 변이의 치명률은 약 0.18% 수준"이라고 했다. '내가 그 0.18%에 속할 수도 있다'며 불안에 떠는 국민의 마음을 헤아리지 못한 발언이다. 재택치료 체계가 한계점을 노출하면서 확진자의 80%가 넘는 재택치료자들은 불안하기 짝이 없다. 셀프 재택치료가 일반관리군 환자 방치로 더 이상 이어져선 안 된다. 정부는 방역 인력의 신속한 재배치 등 효율적인 인력 활용으로 재택치료 역량을 늘리고 방역 사각지대를 메워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