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몰락한 철강도시 우려 VS 기업 이윤위한 선택’ 여론 양분
기업 성장 논리로 서울 설립 주장…지역 반발에 "극단 이기주의"
포스코 지주사 및 미래기술연구원의 서울 설립에 대해 포항을 포함한 경북지역 전체가 들끓고 있지만, 정작 수도권에서는 큰 여론몰이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오히려 몇몇 언론 등에서는 포스코의 기업 성장 논리를 거론하며 서울 설립의 불가피함까지 역설했다. 무관심을 떠나 지역의 반발 움직임에 곱지 않은 시선까지 보내는 모습이다.
먼저 포스코 지주사 문제가 불거지면서 유력 대선후보들은 잇따라 반대 의견을 밝히고 나섰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지난달 27일 이철우 경북도지사 등을 만난 자리에서 "국가기관도 지방으로 가는 마당에 국민기업 포스코가 지주회사를 서울에 설치하는 것은 지방 균형발전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했으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지난 11일 SNS를 통해 "포항의 희생 위에 세워진 포스코가 지주사를 서울에 설립하는 것은 고 박태준 명예회장의 도전정신, 민족기업으로서 역사적 사명에도 맞지 않는다"고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와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지난 14일과 18일 각각 포항 시위 현장을 직접 찾아 "포스코는 포항과 함께 성장한 기업으로 당연히 포항에 본사를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력 대선 후보들이 잇달아 포스코 지주사 관련으로 지역민의 손을 들어주자 중앙언론 일각에서는 비판도 쏟아졌다.
한 매체에서는 포스코 지주사 문제를 숙소에 비교하며 "집을 옮기는데 이웃들이 가지 말라고 강제할 권한이 있는가. 민간기업의 결정에 정치권이 개입해서는 안 된다"는 논평을 내놨으며, "주인 없는 기업이라는 이미지 탓에 수도권으로 옮겨 우수 인재를 데려오기 위한 선택도 마음대로 못한다"고 말한 매체도 있다.
지역의 반발을 '극단이기주의'라 분석한 기사도 나오는 등 부정적 인식을 보이거나 그렇지 않은 중앙언론들도 크게 비중 있게 다루지 않는 형태다.
실제 관련 기사의 댓글에는 '글로벌 기업으로의 도약을 지방이 발목잡지 마라', '발전하려면 당연히 서울 가야지 지방에서 할 수 있는 게 있나' 등의 부정적 의견들이 심심치 않게 눈에 띈다.
이러한 중앙여론의 시각에 지역에서는 '지방불균형에 대한 수도권의 인식 부족'을 문제로 삼는다.
과거 세계의 대장간이라고 불렸던 미국 피치버그가 1970년대 철강산업의 몰락으로 유령도시로 몰락했던 사례가 포항에서 재현될 수 있는 위기감을 현재 수도권에서는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란 반응이다.
국내 철강산업 역시 외국산 철강과의 가격 경쟁력, 철강 수요의 감소 등으로 이미 쇠퇴산업으로 분류된 지 오래다. 여기에 미래먹거리를 선도해야할 대기업 기반의 R&D 인프라 부재는 지역과 수도권의 불균형을 더욱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것이 지역 내의 분위기이다.
포스코 문제에 앞서 이번 정권 초기 발생한 탈원전 기조 또한 이런 의미에서 지역과 수도권 간의 여론이 사뭇 달랐다.
당시 중앙여론이 여·야간의 정치진영 논리라던가 미래 국가경제의 색채가 강했다면 경북 울진 등 원전밀집 소도시의 경우는 생존권을 이유로 현재까지 집회를 이어가는 상황이다.
김병욱(국민의힘) 포항남·울릉 국회의원은 "흔히 국내 수도권과 지방을 과거 계급관계로 비유한다. 밥상 위가 넘쳐나는 양반집과 겨우 반찬 하나를 붙잡고 있는 평민집이 가지는 절박함은 다르지 않겠나"면서 "인구감소세에도 수도권은 지금 계속 인구가 집중되고 신흥 지자체마저 생겨나고 있다. 수도권 집중화는 지방만이 아니라 국가 미래에 악영향이 될 수밖에 없음을 모두 공감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