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택치료 대상 기준 오락가락 '혼란'…50대 기저질환자 다시 넣기로

입력 2022-02-10 11:14:55

새 재택치료 시작 직전 하루새 2번 기준 바꿔
원안대로 '60세 이상·50대 기저질환자·면역저하자'

9일 오전 대구 시내 한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 주차장에 마련된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기 위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매일신문 DB
9일 오전 대구 시내 한 호흡기 진료 지정 의료기관 주차장에 마련된 선별진료소에서 시민들이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기 위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매일신문 DB

집중관리군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재택치료 체계 가동을 하루 앞두고 정부가 모니터링 대상 기준을 두 차례나 변경했다. 방역 당국이 새 체계 도입 직전에 오락가락하는 모습을 보이며 각 지방자치단체와 의료현장의 혼란이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9일 오후 11시쯤 재택치료 집중관리군 대상자 기준을 '먹는 치료제(팍스로비드) 투약 대상자로서 지자체가 집중 관리가 필요한 환자'로 확정했다. 대상자 분류 기준을 둘러싼 혼선이 거듭되는 상황에 정부가 대상자 범위를 다시 확대하는 방향으로 최종 결정한 것이다.

정부는 앞서 재택치료자를 고위험군인 '집중관리군'과 '일반관리군'으로 분류해 10일부터 각기 다른 방식으로 관리를 받도록 하는 재택치료 체계를 도입한다고 밝혔다.

당초 정부는 지난 7일 의료기관이 하루 2회씩 건강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집중관리군'을 60세 이상·50대 기저질환자·면역저하자로 발표했다. 그러다 지난 9일 돌연 집중관리군을 '60세 이상, 먹는치료제 처방자 중 지방자치단체장이 집중 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사람'으로 축소했다.

하지만 해당 기준을 따를 경우 50대 기저질환자나 면역저하자는 먹는 치료제를 처방받은 적이 없다면 일반관리군으로 분류돼 정기적인 건강 모니터링을 받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되자 기준을 또 바꿨다.

이에 따라 재택치료 집중관리군은 최종적으로 60세 이상, 먹는 치료제 투약 대상자인 50대 이상 고위험·기저질환자와 면역저하자로 확대된다.

50대 이상 고위험·기저질환자에는 고혈압 등 심혈관질환, 당뇨, 만성 신장질환, 천식 등 만성 폐쇄성폐질환, 활동성 암, 과체중, 인체면역결핍질환 등이 포함된다. 면역저하자에는 자가면역질환자,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자, B-세포 표적치료 또는 고형장기 이식 중인 1년 이내 환자, 스테로이드제재 등 면역억제 투약 환자 등이 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