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주역-보문단지 연결 대중교통수단 없고 택시 복합할증료까지…개선 목소리 높아
경주에서 KTX 신경주역-보문단지 연결 대중교통 수단이 없는데다 시내·황리단길-보문단지를 오갈 때의 비현실적인 택시 복합할증료 탓에 관광객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이로인해 관광객들의 경주에 대한 첫인상이 '불필요하거나 바가지 같은 택시비'로 얼룩지고 있어 교통체계 개선이 시급하다.
매년 수도권 등 전국에서 200여만명이 오가는 건천읍 화천리에 위치한 KTX 신경주역.
관광객 중 상당수는 숙소로 예약한 대형 특급호텔과 콘도, 리조트가 밀집한 보문단지로 가게 된다.
하지만 KTX 신경주역에는 보문단지로 가는 직행 버스 등 대중교통수단이 없다.
선택의 여지가 없는 관광객들은 20여㎞ 떨어진 보문단지까지 택시를 이용해야하는 데 3만원이 넘는 택시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서울-신경주 KTX 편도 요금이 4만9천300원, 일반 고속버스 2만600원, 우등고속버스 3만300원임을 감안하면, 관광객들은 보문단지까지 가기 위해 서울-경주 교통비를 한 번 더 부담하고 있는 셈이다.
관광객 백모(57·서울 강남구) 씨는 "만약 보문단지행 직행버스가 있다면 요금 수천원만 지불하면 될 것"이라며 "택시요금으로 관광객들의 주머니를 턴다는 불쾌감이 든다"고 말했다.

최근 전국적인 핫플레이스로 주말 하루 3만명이 찾는 황리단길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이곳에서 숙소가 있는 보문단지로 가기 위해 택시를 탈 경우 복합할증료가 적용, 대략 12㎞ 거리에 요금 1만5천원을 부담해야 한다.
기점인 경주 예술의전당에서 5㎞ 떨어진 보문교 입구 요금할증구간에 들어서면, 택시 요금이 갑자기 150%로 급증해 버린다.
반면 인근 포항의 경우 시내에서 12㎞ 이상 택시를 이용해도 할증료는 붙지 않는다.
시민 박모(63·동천동) 씨는 "보문단지는 시내에서 차량을 운행해 10분도 안 걸리는 시내권"이라며 "'택시기사들의 반발 때문에 비현실적인 요금할증이 계속된다'는 비판이 많다 "고 지적했다.
이에 경주시 교통행정과는 "신경주역-보문단지 직행버스 운행 건은 내부적으로 검토 중"이라며 "복합할증료는 택시가 시외로 나갔다가 빈차로 되돌아오는 문제 때문에 시작됐는데 '점차 완화해야 한다'는 여론이 많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