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총리 "코로나 먹는 치료제 50세부터 허용 검토"

입력 2022-01-25 17:25:42 수정 2022-01-25 21:18:27

“10만∼20만명 확진은 비관적 견해”…정치권 추경 증액 주장엔 “돈 어디서 가져오나” 에둘러 반대

김부겸 국무총리(가운데)가 25일 오후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결단식에 참석하고 있다. 왼쪽은 이기흥 대한체육회장, 오른쪽은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연합뉴스
김부겸 국무총리(가운데)가 25일 오후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공원 올림픽홀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결단식에 참석하고 있다. 왼쪽은 이기흥 대한체육회장, 오른쪽은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연합뉴스

김부겸 국무총리는 25일 코로나19 먹는 치료제와 관련, "(투약 대상을) 50세로 낮추는 것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김 총리는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지금까지 투약했던 200여분은 확실하게 효과가 있었다. (먹는 치료제를) 투약하면 위중증으로는 안 간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에 따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등의 논의를 거쳐 50대 이상으로 먹는 치료제 투약을 확대하는 조치가 조만간 이뤄질 전망이다.

애초 정부는 '먹는 치료제' 대상을 65세 이상으로 정했지만, 오미크론 변이가 우세종화 하고, 고혈압 등 기저질환이 많은 노령층에 함께 투약하는 데 한계가 있자 최근 이를 60세 이상으로 확대했다.

김 총리는 오미크론 변이로 인한 확산세에 대해선 "다른 나라와 달리 우리나라는 고위험군의 3차 접종률이 워낙 높다"며 "일본처럼 몇 백 배 뛰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대응 역량이 부족하지 않느냐'는 질문엔 "재택치료, 중등증 병상, 치료제, 동네병의원 참여를 패키지로 묶어 싸움을 해내야 한다. 한 칼에 정리할 수 있는 무기 같은 건 없지 않나"라며 현실적인 어려움을 토로했다.

또 코로나19 확진자 규모와 관련해선, "10만∼20만명 (예측은) 아주 비관적인 사람들이 그렇게 보는 것"이라며 "정부와 같이 일하는 분들은 3만명 정도에서 피크(정점)를 칠 것이라고 이야기한다"고 설명했다.

국회에 제출된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추가경정예산 증액 문제에는 "돈을 어디서 가져온대요?"라고 되물으며 에둘러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이어 "여의도에서 '빚을 내서라도 보호해야 한다'라고 결정하면 정부도 조금 고민을 해야겠지만, 지금 미리 '빚을 내겠다'는 소리는 못 한다"고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특히 임대료 감면을 통한 소상공인 추가지원 방안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는 제안을 했다. 김 총리는 "감염병과의 전쟁 상황이다. 전쟁에도 건물주가 임대료를 다 받아야 하나"라며 "임대료 부담이 제일 크다. 임차인한테 다 짊어지게 하지 말고 정부와 임대인이 (부담을) 나눠서 질 방안을 고민해봐야 한다"고 했다. 국회에 관련 법안이 몇 개 제출돼 있는 만큼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해달라는 요청이다.

오는 27일부터 시행되는 중대재해처벌법과 관련해선 "중소기업 하는 분들 과도한 두려움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일단 시행해나간 뒤 보완책을 찾을 것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