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우세종 된 오미크론, 방역 체계 전환 서둘러야

입력 2022-01-25 05:00:00

지난주 국내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종 분포율이 50.3%를 기록했다. 우리나라도 오미크론 코로나 우세종화가 이제 시작된 것이다. 확진자 수도 사흘 연속 7천 명대를 기록하면서 역대 최고치에 바짝 다가섰다. 대구에서는 비수도권에서 가장 많은 확진자가 나오는 가운데 지난 1주일간 오미크론 분포율이 81.6%나 됐다. 설 명절 연휴를 감안하면 국내에서 1만~2만 명대 또는 그 이상의 확진자가 나올 가능성이 크다.

전파력이 델타 변이종에 비해 2~4배 높은 오미크론 특성상 기존 방역 대응 방식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최악의 경우 매일 몇십만 명씩이나 되는 국민들을 자가 격리해야 하거나 감염자 폭증을 PCR(유전자 증폭) 검사가 감당 못 하는 일이 빚어질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사회적 거리두기 및 방역패스를 더 강화하거나 장기화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이제 오미크론 우세종화에 따른 방역 체계 전환이 불가피해진 것이다.

오미크론 확산과 관련해 정부는 신속항원검사 확대 및 격리 기간 단축을 골자로 하는 방역 체계 전환을 예고한 바 있다. 오미크론 우세종화가 된 광주와 평택 등 전국 4개 지역에서는 26일부터 오미크론 대응 방식을 전환하겠다고 했다. 하지만 정부의 대응을 보면 오미크론 확산 속도를 따라잡지 못한다는 인상마저 준다. 바뀐 방역 대응 체계가 의료 현장에 안착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는 점을 고려할 때 늦어도 1~2주 안에는 방역 방식의 전면적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료인들의 충고를 정부는 흘려듣지 말아야 한다.

그나마 긍정적인 것은 오미크론의 위중증화 비율이 델타 변이종의 4분의 1 수준이라는 점이다. 남아공, 영국 등 해외 사례에서 볼 때 오미크론 감염자는 급속도로 불어나 정점을 찍은 뒤 가파르게 떨어진다는데 우리나라는 이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오미크론 우세종화에 대비한 방역 대응 시스템을 최대한 빨리 구축해 이 위기 국면을 잘 넘긴다면 코로나19 엔데믹 전환에 대한 기대감도 가질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