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청신도시 분기별 인구 증가 100명 안 돼

입력 2022-01-23 15:03:35 수정 2022-01-23 21:27:45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2016년 입주 후 분기별 수백~수천 명씩 늘었지만 지난해 크게 둔화
신규 주택 공급 없고 출산·육아·교육 등 필수 인프라 개선 더뎌

경북도청 신도시 전경. 매일신문 DB
경북도청 신도시 전경. 매일신문 DB

경북도청 신도시의 인구 증가세가 눈에 띄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1단계 준공에 이은 2단계 사업의 늑장 착공으로 지난해 신규 공동주택 공급의 흐름이 끊긴 데다 출산·보육·교육·의료 등 젊은 부부 맞춤형 인프라 개선이 좀처럼 이뤄지지 않아서다.

2016년 입주를 시작한 경북도청 신도시 주민등록인구는 그해 5월 1천498명에서 이듬해 말 8천63명으로 증가했다. 이후 2018년 말 1만3천662명, 2019년 말 1만7천443명, 2020년 말 2만24명으로 급증했다.

주민등록을 하지 않은 정주인구까지 더하면 2만5천명은 훌쩍 넘을 것이라고 경북도는 본다. 공동주택이 집중 공급된 예천군은 신도시 효과로 2015년 4만4천674명이던 인구가 지난해 말 5만5천739명으로 1만 명 넘게 늘었다.

문제는 지난해 신도시 인구 증가세가 크게 둔화됐다는 점이다. 2020년 말과 비교해 지난해 연말 도청신도시 주민등록인구는 1천221명 늘어나는 데 그쳤다. 분기별로 나눠보면 지난해 4분기 증가한 인구는 단 77명으로 신도시 입주 후 분기별 증가수로는 처음으로 두 자릿수 대로 진입했다.

지난해 추가 공동주택 공급이 없었던 탓에 분기별로 수백~수천 명씩 늘어나던 기세가 크게 꺾였다. 신도시 1단계 사업이 2016년 2월 준공됐지만 2단계 착공이 2017년 12월로 늦어지며 2년 가까운 시간을 허비한 게 결정타로 작용했다.

당시 허허벌판이던 신도시에 사람이 모여들겠느냐는 막연한 회의감, 안동·예천 구도심 공동화에 대한 우려 등 심리가 작용해 '속도조절'에 나섰던 게 신도시 성장세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추가 기관 이전, 문화·체육시설 등 계획이 잇따르지만 정작 신도시에 살고 있는 주민 고충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부족한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40대 이하 인구가 80%를 넘기지만 출산·보육·교육·의료 등 젊은 인구에게 필수적인 인프라 구축, 맞춤형 정책의 시행은 사실상 전무한 여건이다.

2단계 부지를 대상으로 3천 가구가 넘는 공동주택이 공급될 예정이지만 초·중학교 신설은 교육부 심사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중·고교 입학 자녀를 둔 신도시 부부들이 더 나은 교육 조건을 찾아 대구 등지로 떠날 것을 고민한다는 목소리가 적잖다.

경북도 관계자는 "상주인구 2만5천여명이면 1단계 목표 인구를 달성한 것이지만 다수 상가가 아직 비어있는 등 도시 모습을 갖추기엔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면서 "올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 행복주택 입주가 시작되고 신규 오피스텔도 속속 착공하고 있는 만큼 올 하반기에는 인구 증가세가 다시 상승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