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먹는 코로나19 치료제 공급 시작

입력 2022-01-14 15:46:31 수정 2022-01-14 18:01:45

증상 발현 후 5일 이내 65세 이상 또는 면역저하자 대상
생활치료센터, 재택치료자 등 365명분 공급…투여자는 아직 없어

14일 오후 대구 중구의 한 약국에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14일 오후 대구 중구의 한 약국에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팍스로비드'가 입고돼 관계자가 수량을 확인하고 있다. 생활치료센터 입소자는 전담 의료진을 통해 투약이 이뤄지며, 재택치료자는 비대면 진료 후 지정약국과 보건소를 통해 치료제를 전달받게 된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대구시가 14일부터 코로나19 경구용 치료제 공급을 시작했다.

14일 코로나19 바이러스 경구용치료제로 화이자사의 팍스로비드 365명분을 주요 약국과 생활치료센터에 배정했다. 공급한 치료제는 재택치료자 215명 분과 생활치료센터 2곳에 150명 분 등 365명 분이다.

투약 대상은 증상 발현 후 5일 이내에 중증으로 진행될 위험이 높은 경증 및 중등증 환자다. 65세 이상 또는 면역저하자 중 재택치료를 받거나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한 사람에게 우선 투약하며, 무증상자는 투약 대상에서 제외된다. 대구에서는 아직 투여 대상자가 없어 처방은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재택치료자는 대구의료원과 칠곡경북대병원, 계명대 대구동산병원, 한영한마음아동병원을 통해 비대면 진료를 받은 뒤 지정약국과 보건소를 통해 치료제를 전달받게 된다. 생활치료센터 입소자는 전담 의료진을 통해 투약이 진행된다.

앞서 시는 지난 12일 8개 구·군 보건소와 관리의료기관 4곳, 전담약국 8곳 등과 함께 치료제 처방과 전달 연습을 마쳤다.

치료제는 3정을 하루 2회, 닷새간 복용하며 증상이 개선되더라도 정해진 용법·용량에 따라 복용을 끝내야한다. 병용금지 의약품을 복용했거나 신장 및 간에 장애가 있는 경우 투여가 제한 또는 금지된다.

시는 경구용 치료제 복용자를 매일 전화로 모니터링하면서 투약 여부와 건강 상태 등을 관찰할 계획이다.

이영희 대구시 시민건강국장은"경구용 치료제 도입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중증 환자 비율이 많이 줄어들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