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납 의혹 제보자 사망 악재·서울서 尹과 큰 격차 없어·2030 표심도 확실히 못 잡아
'부동산 공약' 앞세워 반등 기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30%대 박스권 지지율에 갇힌 가운데 대장동 이슈 및 변호사비 대납 의혹, 부족한 수도권 지지율 그리고 2030세대 공략 한계 등 3대 리스크 대응이 향후 반등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13일 4개 여론조사업체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 10∼12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 4자 가상대결에서 이 후보는 37%를 기록, 30%대 박스권 탈출에 또 다시 실패했다. 28%를 얻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의 격차는 오차범위 밖인 11%포인트(p)였다.
윤 후보가 선대위 내홍과 부인 김건희 씨의 각종 논란으로 수세에 몰렸지만, 최근 이 후보 역시 변호사비 대납 의혹 제보자 사망 등 악재를 만나며 반사이익을 얻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잊을만하면 부각되는 대장동 이슈와 변호사비 대납 의혹은 이 후보가 지지율 40%를 넘지 못하는 핵심 원인으로 지목된다.
여론조사가 진행된 10일엔 대장동 사태와 관련한 첫 공판에서 화천대유 대주주인 김만배 씨 측이 당시 성남시장이던 이 후보의 지시에 따랐을 뿐이라고 밝혀 대장동 이슈가 정국을 덮었다. 이튿날인 11일엔 변호사비 대납 의혹 첫 제보자인 이모 씨가 사망한 채 발견되면서 야권으로부터 '간접 살인' 공세가 쏟아졌다.
직전 경기도지사를 지냈음에도 수도권 지지율에서 윤 후보와의 격차를 벌리지 못하는 점도 박스권 지지율의 주요인으로 보인다.
서울에서 이 후보는 34%, 윤 후보는 32%를 얻어 오차범위 내 접전을 벌이고 있다. 다만 인천·경기에선 이 후보는 40%, 윤 후보는 24%를 얻어 이 후보가 16%p차로 앞서지만, 서울시장 출신 이명박 전 대통령의 대선 서울 득표율과 비교하면 이른바 홈 어드밴티지가 미약하다는 분석이다. 2002년부터 2006년까지 서울시장을 지낸 이 전 대통령은 2007년 17대 대선 당시 서울에서 53.23%를 얻었다.
아울러 이번 대선의 스윙보터로 떠오른 2030세대 표심도 확실히 사로잡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여성가족부 폐지, 병사월급 인상, 게임산업 진흥 등 이대남(20대 남성)을 겨냥한 공약과 관련해 최근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와 손을 맞잡은 윤 후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 후보는 이 같은 리스크를 돌파하기 위한 복안으로 부동산 공약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의 최대 피해자가 수도권에 거주하는 20~30대라는 점을 고려해 최근 부동산 세재 완화 및 재개발·재건축 활성화를 약속하고 있다.
이 후보는 이날 노원구 재건축추진 아파트를 방문해 "노후 아파트 문제에 사실은 정말 많은 고통을 받으신 것 같다"며 용적률 상향과 안전진단 기준 하향을 공약했다.
한편 여론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이며, 응답률은 29.3%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