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정민 소령, 민간인 피해 막으려고 탈출 대신 야산에 추락…文 "우리 군의 귀감"

입력 2022-01-13 13:46:57 수정 2022-01-13 13:59:56

고(故) 심정민(29·공사 64기) 소령. 연합뉴스
고(故) 심정민(29·공사 64기) 소령. 연합뉴스

지난 11일 공군 F-5E 전투기 추락 사고로 순직한 고(故) 심정민(29·공사 64기) 소령이 추락 직전까지 조종간을 잡아 민가 피해를 줄인 것으로 확인됐다.

공군은 13일 "심 소령이 다수의 민가를 피하기 위해 탈출을 시도하지 않고 조종간은 끝까지 잡은 채 민가와 100m 떨어진 야산에 충돌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공군에 따르면 사고 전투기는 11일 오후 1시 43분 수원 기지에서 정상적으로 이륙했으나 이륙 후 양쪽 엔진에 화재 경고등이 떴다. 심 소령은 긴급 착륙을 위해 수원 기지로 선회했으나 조종 계통 결함이 추가 발생했다.

당시 심 소령은 '이젝션(Ejection·탈출)'을 두 번 외치면서 비상 탈출 의사를 표명했다. 그러나 항공기 진행 방향에 다수 민가가 있어 이를 피하기 위해 끝까지 비상 탈출 좌석 레버를 당기지 않고 조종간을 잡은 채 순직했다는 것이 공군의 설명이다.

2016년 임관한 심 소령은 F-5를 주기종으로 5년간 임무를 수행하며 기량을 쌓아온 전투조종사다. 지난해 11월에는 호국훈련 유공으로 표창을 수상할 만큼 모범적인 군인이었다.

영결식은 14일 오전 9시 소속 부대인 공군 제10전투비행단에서 부대장(部隊葬)으로 엄수된다. 유해는 국립 대전현충원에 안장될 예정이다.

11일 경기도 화성의 야산에 추락한 F-5E 전투기는 우리 공군이 운용 중인 가장 오래된 전투기 기종 중 하나다. 사진은 훈련 중인 F-5E 전투기. 연합뉴스
11일 경기도 화성의 야산에 추락한 F-5E 전투기는 우리 공군이 운용 중인 가장 오래된 전투기 기종 중 하나다. 사진은 훈련 중인 F-5E 전투기.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조국 하늘을 수호하다가 순직한 심정민 소령의 명복을 빌며, 슬픔에 잠겨 있을 가족들께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메시지를 통해 "고인은 장래가 촉망되는 최정예 전투조종사였으며, 동료로부터 존경과 신뢰를 받는 참군인이었습니다. 그래서 고인을 잃은 슬픔이 더욱 크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끝까지 조종간을 붙잡고 민가를 피한 고인의 살신성인은 '위국헌신 군인본분'의 표상으로 언제나 우리 군의 귀감이 될 것"이라며 "다시 한번 국민들과 함께 깊은 위로를 표하며, 그토록 사랑했던 조국의 하늘에서 영면하길 기원한다"고 위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