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 부총리, 혁신성장 빅3 추진 회의
"빅3 산업, 정책수단 총동원해 전방위 지원"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백신·원부자재 산업을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오는 2024년까지 6조3천억원 규모의 민간 설비투자를 지원하겠다"고 13일 밝혔다.
홍 부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혁신성장 빅(BIG)3 추진 회의'를 주재하고 "코로나19 위기를 계기로 급성장한 바이오헬스 산업을 차세대 먹거리, 미래 성장동력으로 집중 육성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홍 부총리는 "바이오 핵심 유망 분야인 신약·혁신 의료기기·첨단 재생의료 등 3개 사업에 올해 3천539억원의 예산을 집중적으로 투입하고, 올해 바이오헬스 진흥기본법 제정 등을 추진해 우수인력, 연구중심병원 등 우리가 가진 강점을 살린 바이오헬스 생태계 조성에 최대 중점을 두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디지털 헬스케어 관점에서 의료기관의 진료 정보 디지털 전환 확대와 100만명 규모의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도 착실히 준비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홍 부총리는 "올해도 재정, 세제, 금융, 규제·제도 개혁 등 네 가지 정책 수단을 총동원해 DNA·빅3 산업을 전방위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산업을 업그레이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DNA 산업은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AI) 산업을, 빅3 산업은 미래차,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산업을 뜻한다.
홍 부총리는 "DNA 및 빅3 분야의 대규모 민간 투자와 인력 양성이 계획대로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최대한 뒷받침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재부에 따르면 정부는 DNA와 빅3 분야 재정투자 규모를 지난해 9조7천억원에서 올해 12조2천억원(DNA 5조9천억원·빅3 6조3천억원)으로 25.7% 대폭 확대한다.
또 뉴딜·모태펀드 12조원, 산업은행·기업은행 등의 정책금융 66조원 등 78조원 규모의 자금 조성을 지원한다.
홍 부총리는 "DNA와 빅3 산업은 국가 간, 기업 간 패권 경쟁이 특히 치열한 영역"이라며 "코로나19 위기, 글로벌 공급망(GVC) 약화, 원자재 가격 상승 등 격변의 환경 속에서도 미래 핵심 성장동력으로 착실히 자리매김해 나가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지난해 빅3 산업 3개 분야 모두 역대 최고 수출을 기록하고 수소차 글로벌 1위, 시스템반도체 세계시장 점유율 2위, 글로벌 백신 허브 급부상 등 상당 부분 가시적인 성과를 거양했다"고 평가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