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해도 되지만 물건 사는 건 안된다?" 백화점‧대형마트 방역패스 적용 혼란 여전

입력 2022-01-10 16:07:32 수정 2022-01-10 20:23:16

백화점 종사자 볼멘소리 "엘리베이터 탑승 전 일일이 불러세워 접종 여부 확인해야"

연면적 3천㎡ 이상의 쇼핑몰, 마트, 백화점, 농수산물유통센터, 서점 등 대규모 상점 등에 대한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적용이 시작된 10일 오전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직원들이 고객들에게 방역패스 안내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면적 3천㎡ 이상의 쇼핑몰, 마트, 백화점, 농수산물유통센터, 서점 등 대규모 상점 등에 대한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적용이 시작된 10일 오전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직원들이 고객들에게 방역패스 안내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이용 시 방역패스를 의무화하면서 현장에서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시설 특성 상 출입구가 여러 곳인데다 시설 안에서도 쇼핑, 휴식, 편의시설 등 이용 공간이 흩어져 있어 모든 이용자들의 접종 여부 등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시설 이용자의 접종 여부는 따지면서 종사자는 방역 패스 적용 대상에서 제외한 점도 혼란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꼽힌다.

10일부터 판매 매장 면적 3천㎡ 이상의 백화점과 대형마트에서도 출입 시 방역패스(접종 증명‧음성 확인) 지참이 의무화됐다.

대구시내 대형마트와 백화점들은 전날까지 별다른 안내나 확인을 하지 않다가 방역패스 의무 시행 당일인 10일 갑자기 방역패스를 적용하기 시작하면서 곳곳에서 혼선을 빚었다.

우선 모든 시설 이용자들의 접종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점이 문제로 꼽혔다. 백화점이나 대형마트는 내부로 들어가는 출입구가 다양하다. 대개 차량에서 내려 주차장의 여러 출입구를 통해 건물 내부로 들어가거나, 지상 출입구로 걸어 들어간다.

지상 출입구의 경우 출입문마다 QR코드 인식기기를 두고 안내 직원을 배치해 별다른 혼란이 없었다. 문제는 주차장을 통한 출입이다. 이날 대구 중구의 한 백화점에서는 지하 주차장 층별로 엘리베이터마다 별도의 직원을 두고 건물 안으로 들어오는 이용자들의 접종 여부와 시기를 확인했다.

이 백화점 관계자는 "엘리베이터에 타기 전에 고객을 불러 세워 접종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엘리베이터를 놓치는 경우가 있어 볼멘소리를 들어야 했다"며 "엘리베이터가 한 대만 있는 게 아니어서 사람들이 우르르 몰려 들어올 때면 한두 명씩 놓칠 수밖에 없다"고 한숨을 쉬었다.

시설 내부에 여러 종류의 공간이 혼재해 있는 점도 허점으로 꼽혔다. 북구의 한 대형마트는 층별 매장 입구 계산대 옆에 별도로 임시 공간을 마련하고 이용자들에 대한 접종 여부를 확인하고 있었다. 하지만 매장 밖과 가까운 화장실, 수리가게 등 일부 공간은 접종 확인 절차 없이도 이용할 수 있었다.

이용자의 접종 여부는 따지면서 종사자는 방역 패스 의무 대상에서 제외된 점도 도마 위에 올랐다.

한 대형마트 아르바이트 직원은 "접종을 하지 않았더라도 업무는 평소와 똑같이 할 수 있지만 마트에서 물품 구입은 불가능하다고 교육받았다. 마트 안에서 사람들을 마주치고 안내하는 과정에 감염이 될 수도 있는데, 물건 구입 여부에 따라 방역패스 적용 대상이 갈리는 점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고 했다.

방역당국은 백화점‧대형마트 종사자의 경우 고용 안정성을 고려해 방역패스 적용 대상에서 예외로 두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종사자는 개인적인 사정으로 접종을 못했다가 한 순간에 일자리를 잃게 될 수 있다고 판단해 이용자에 대해서만 방역패스를 의무 적용하기로 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