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내달 열리는 베이징 동계올림픽 불참을 공식 선언했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제재와 감염병 유입 우려를 두루 감안한, 예견된 결과다. 올림픽 계기 '종전선언' 합의를 모색하던 문재인 정부의 기대에 찬물을 끼얹는 행동인데 정부는 아직 기대를 접지 않고 있다. 북한이 정부 대표단 등 '외교적 참가' 가능성까지 닫아 놓은 건 아닌 만큼 대화 동력을 살릴 불씨는 살아 있다는 것.
북한 올림픽위원회(NOC)와 체육성은 5일 중국 측에 북한 선수단이 베이징올림픽에 참가할 수 없다는 내용의 서신을 보냈다. 극초음속 미사일을 발사한 당일 중국 측에 편지를 보내 불참을 공식 선언한 것이다. 북한은 이 편지에 중국을 응원하는 메시지도 동시에 담아냄으로써 미사일 발사로 인해 세계인의 축제에 재를 뿌린 데 대한 비판 여론을 희석시키는 시도도 했다.
리룡남 주중 북한대사를 통해 전달된 편지에서 북한은 "적대세력들의 책동과 세계적인 대유행 전염병 상황"을 불참 사유로 제시했다. 지난해 도쿄 하계올림픽 일방 불참에 따른 IOC의 자격 정지 조치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우려로 어쩔 수 없이 선수단을 보낼 수 없다는 것이다. 북한은 국경을 단단히 잠그고 최근 교체된 '혈맹' 중국의 신임대사 입국까지 불허할 정도로 코로나19 상황을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
대신 북한은 혹시 모를 중국의 불만을 의식해 심기 경호에 신경을 썼다. 조선중앙통신은 7일 "중국 동지들의 모든 사업을 전적으로 지지, 응원한다"면서 올림픽 성공 개최를 기원했다. 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을 확정한 미국을 거세게 비판하는 방식으로 중국 편을 들기도 했다. 통신은 "미국과 추종세력들의 반(反)중국 음모 책동이 더욱 악랄해지고 있다"며 "올림픽헌장 정신에 대한 모독"이라고 꼬집었다.

남북·북미대화 재개에는 당장 빨간 불이 켜졌다. 정부는 당초 베이징올림픽에서 남북미중, 종전선언 당사국들이 만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진전을 도모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최근 미국의 대북 압박 수위는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6일(현지시간) 5일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발사를 겨냥, "북한의 불법적 핵·미사일 프로그램은 지속적 위협"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미국은 10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들에 비공개 회의 소집도 요청했다. 프랑스와 독일 등 서방국가들 역시 일제히 북한의 미사일 발사를 규탄하는 모양새다. 한반도 정세에 악재만 잇따르고 있는 셈이다.

정부는 북한의 외교적 참가 가능성에 한 가닥 기대를 걸고 있다. 북한이 고위급 인사 파견까지 배제한 건 아니기 때문이다. 통신도 "전통적인 조중(북중) 친선의 강화·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한 만큼 축하사절단 형식으로 중국의 체면을 살려줄 여지도 있다. 2014년 소치 동계올림픽 때도 북한은 출전 선수 없이 김영남 당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단장으로 한 대표단을 보냈다. 이번에도 전례를 답습한다면 한반도 현안을 논의할 남북중 당국자들의 극적 만남도 성사될 수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북한 고위급 방중이나 종전선언 협의 등 모든 가능성은 여전히 열려 있다"면서 "동북아 평화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갖고 끝까지 다양한 방법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