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투자자 피해 우려에 상장폐지 가능성은 "낮다" 중론
직원이 1천880억원의 회삿돈을 빼돌리는 대규모 횡령 사건에 휘말린 오스템 임플란트 사태가 일파만파로 치닫고 있다. 회사와 거래하는 은행들이 신용등급 재평가 작업에 들어가고 금감원도 관련 모니터링에 착수한 가운데 상장폐지까지는 가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오스템임플란트는 지난달 31일 자사 자금관리 직원이었던 이씨를 업무상 횡령(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고소했다고 지난 5일 공시했다. 회사 자기자본의 91.8%에 달하는 규모로 상장사에서 발생한 횡령 사건 중 역대 최고액으로 추정된다.
오스템임플란트에 대출을 해준 은행들은 신용등급 재평가 작업에 착수했다. 공시자료에 따르면 오스템임플란트의 은행권 대출은 3천억원대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우리은행의 대출금액이 1천73억원으로 가장 많고 산업은행(804억원), 수출입은행(250억원), 신한은행(212억원), 기업은행(193억원), 국민은행(46억원) 순이다.
은행권은 신용등급 재평가 과정에서 오스템임플란트의 관련 대책을 평가할 것으로 보인다. 재평가 과정에서 신용등급을 낮춰 대출금을 회수하거나 한도성 여신(마이너스 통장) 금액이 줄어들 수 있다.
금융당국도 관련 조치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한국거래소는 오스템임플란트의 상장적격성 실질심사 여부 검토에 돌입한 상태다. 거래소는 우선 일차적으로 오는 24일까지 오스템임플란트가 상장 적격성 실질심사 대상에 해당하는지를 결정한다. 경찰 조사 등으로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15영업일 이내의 기간을 더 부여할 수 있다. 실질심사 대상이 되면 영업일 기준 20∼35일 동안 실질심사를 거친 후 기업심사위원회에 올라 상장 폐지 여부가 가려진다.
금융감독원도 오스템임플란트의 재무제표 수정 여부에 대한 모니터링에 착수했다고 5일 밝혔다. 금감원은 오스템임플란트 지정감사법인 인덕회계법인에 대한 상장 감사인 등록 취소설은 '검토한 바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오스템임플란트 관련 사태가 큰 파장을 불러오고 있지만 현재 단계에서 상장폐지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 나온다. 횡령금액이 크지만 회사 재무상태를 고려했을 때 자본잠식 상태까지 갈 우려는 낮은데다 이 중 상당부분을 회수할 가능성이 열려 있기 때문이다.
경찰은 범행 자금 과련 계좌를 확인하면서 동결 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에 따르면 자금이 여러 경로로 다양한 계좌로 빠져나간 정황이 확인된 상태다.
증권업계 한 관계자는 "신뢰성 문제로 주가가 떨어질 가능성은 높지만, 소액주주 피해를 고려하더라도 거래소가 상장폐지까지 가기에는 부담이 클 것"이라고 내다봤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