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업 70% "ESG 확산·정착 중요하다"

입력 2021-12-29 10:27:13 수정 2021-12-29 18:52:14

대한상의·생산성본부, 기업 300곳 대상 설문조사
인식에 비해 실제 수준은 낮아

기업 ESG 중요성 인식 수준.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기업 ESG 중요성 인식 수준. 대한상공회의소 제공

국내 기업 10곳 중 7곳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가 기업 경영에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대한상공회의소가 한국생산성본부와 공동으로 국내 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ESG 확산·정착을 위한 기업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70%가 ESG에 대해 '중요하다'(매우 중요 27.7%·다소 중요 42.3%)고 답했다.

ESG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경영성과에 긍정적 효과 발생(42.9%)'과 '소비자 인식 및 소비 트렌드 변화(41.9%)'를 많이 꼽았다. '투자자 및 금융기관 요구 확대(11.4%)', '임직원의 조직 몰입도 및 만족도 증가(3.8%)' 순으로 뒤를 이었다.ESG 중요성에 대한 높은 인식수준에 비해 실제 기업들의 ESG 경영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사의 ESG 경영 수준이 '높다'는 응답은 29.0%(매우 높다 6.0%, 다소 높다 23.0%)였다. 반면 '보통이다'는 답변은 40.3%, '낮다'는 30.7%(조금 낮다 19.0%, 매우 낮다 11.7%)였다.

대한상의는 응답 기업들의 ESG 경영 수준은 5점 척도 기준 2.9점으로 보통(3점)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또 ESG 전담조직과 전담인력을 갖춘 기업도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조사대상 기업 중 ESG위원회 두고 있는 곳은 15.7%, ESG 업무를 담당하는 조직이 있다는 응답도 21.0%에 불과했다. 아울러 'ESG 업무를 총괄하는 별도의 임원을 둔 기업'은 12.7%에 그쳤다.

윤철민 대한상의 ESG 경영 팀장은 "국내 기업의 ESG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커지고 있지만, 아직 상당수 기업은 ESG 경영을 실천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서 "대기업에는 ESG 평가지표 해석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중견·중소기업에 대해서는 내부 전문인력 양성을 지원하는 등 차별화된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