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국가유공자 명예의 전당’ 유공자 선정부터 잡음

입력 2021-12-20 16:53:08 수정 2021-12-21 07:52:58

市, 지난 10월 인물선정위원회 열고 독립부문 175명·호국부문 5명 선정
호국 관련 단체 "형평성 어긋나는 선정 결과에 유감"

지난달 경북 국립영천호국원에서
지난달 경북 국립영천호국원에서 '2021 6·25 전사자 유해발굴 합동 영결식'이 엄수되고 있다. 사진은 기사내용과 관련 없음. 매일신문 DB

대구시 사업으로 진행 중인 국가유공자 명예의 전당 조성 사업이 대상자 선정부터 잡음을 내고 있다. 헌액 대상자가 독립 부문에 치중된 점을 놓고 호국 관련 단체에서 형평성 문제를 지적하고 나선 것이다.

대구시와 대구보훈청 등에 따르면 '국가유공자 명예의 전당 조성 사업'은 대구출신 국가유공자(독립‧호국 부문)를 발굴해 도시철도 1호선 현충로역에 이들을 기리기 위한 공간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지난 2019년부터 시비 약 4억원을 들여 ▷유공자 명판 ▷인물부조 ▷대구호국의 역사 기록 전시 공간 조성을 추진 중이다.

전당에 헌액될 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해 지난 10월 대구시에서는 역사학자, 역사학과 교수 등 관련 전문가, 대구시와 보훈청 공무원, 보훈단체 대표 등 13명으로 구성된 인물선정위원회를 열고 180명의 대상자를 선정했다.

독립부문에 175명, 호국부문에 5명이 각각 선정됐는데, 이 결과를 놓고 호국 관련 보훈 단체에선 편파적인 선정이라며 강한 유감을 드러내고 있다.

대한민국전몰군경유족회 대구시지부는 "선정 결과가 독립 분야에만 과하게 치중돼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호국 부문에 최소한 50명 이상을 배정해 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지난달 시에 제출했다.

전몰군경유족회 대구시지부 관계자는 "대구경북 지역 6·25 전사자 가운데 무공훈장을 받은 사람만 3천 명이 넘는다. 유골도 찾지 못한 채 전장에서 숨진 전사자들이 많은데 선정 과정이나 배경에 대한 설명도 없이 편파적인 배정을 한 것은 매우 불합리하다"고 말했다.

대상자 선정의 경우 국가보훈처 데이터베이스에 따라 공훈이 인정된 사람들 가운데 훈격이 높고 본적지가 대구 출신인 사람이 명예의 전당에 오를 수 있다.

독립 유공자는 '공훈전자사료관'에 본적(출신지)이 정확하게 등록돼 있지만, 호국 유공자의 경우 그렇지 못하다는 게 대구시와 보훈청의 설명이다. 6·25 전사자의 출신지가 대구인지를 확인하기가 어려워 호국 분야 유공자가 적게 선정됐다는 것이다.

대구보훈청 관계자는 "6·25 전사자는 현재 유족 거주지 기준으로만 관리가 되고 있다. 대구시에 사는 유족이 아닌 경우 출신지가 대구인 유공자를 가려내야 하는데 6·25 전사 유공자의 본적 관리는 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시도 호국 유공자를 발굴하는 데 힘을 쏟지만 당시 전쟁 상황을 감안할 때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대구시 복지정책과 관계자는 "육군에서 6·25 전사자 중 출신지가 대구인 사람을 알기는 힘들다는 대답을 받았다. 행정안전부에도 공문을 보내 호국 유공자 추가 발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향후 명예의 전당에 새로이 헌액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