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수소생산단지, 환동해 심해연구센터, 해양치유센터, 후포 마리나항만 개발 등
경북 울진군이 2021년 신성장 산업의 활발한 투자유치를 통해 향후 군민들의 미래 먹을거리를 마련함과 동시에 울진이 환동해 시대를 이끌어 가는 선도적인 지방자치단체로 우뚝 서는 기반을 조성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대규모 그린수소 생산기반 조성
울진군은 원자력의 전기와 열을 이용해 미래 에너지라고 불리는 그린수소를 대량으로 생산·활용하는 사업에 뛰어들었다. 수소경제를 선도하는 국내 대기업인 현대ENG와 포스코 등 7개 기관의 참여를 이끌어냈다.
이들은 ▷고온가스로(HTGR) 활용 수소생산 ▷고온수전해(SOEC) 기술개발 ▷수소 사업화 협력 ▷원자력 활용 그린수소 생산 실증 연구 등 상호 긴밀한 협력을 통해 우리나라 SMR(소형모듈원자로) 기술과 수소산업 발전에 기여하기로 합의했다.
특히 고온가스로(HTGR)를 활용한 수소 생산은 미래 원자력의 유망기술 연구 분야로 이미 미국, 일본 등 해외에서 연구개발이 활발히 추진 중이며, HTGR에서 생산된 값싼 전기와 750℃의 고온열을 이용해 고온수전해 방식으로 물(H2O)을 전기분해함으로써 수소를 생산한다. 이 기술은 수소 생산과정에 이산화탄소 배출이 없어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울진군과 경상북도는 연구개발 인프라가 잘 구축될 수 있도록 단계별 추진전략을 마련하고 울진군 일대에 첨단원자력 융합연구센터 설립과 상용기술 실증을 위해 '원자력 활용 그린수소 생산·실증단지'를 조성한다.
◆환동해 심해연구센터 설립
동해가 가진 무한한 잠재력을 바탕으로 심해 연구에 대한 국가적 필요성에 부응하고 특화된 해양과학 R&D의 거점 형성과 관련한 해양 신산업을 적극 육성하기 위해 '환동해 심해연구센터'를 설립한다.
▷해난사고에 대비한 심해 다이버 잠수풀 조성 ▷심해 탐사 전용 연구선 건조 ▷심해 조사용 무인탐사체(장비) 구축 등이 주요 핵심 사업이다.
울진군은 환동해심해연구센터를 죽변면 후정리 일대 경북해양과학연구단지(GMSP) 내 유휴부지에 유치하며, 전체 사업비는 1천850억원으로 전액 국비다.
부지는 1만6천㎡ 규모로 주요 시설로는 심해연구센터동, 잠수풀동, 연구선지원동, 기숙사동 등이 들어선다. 2027년까지 설립을 완료할 예정이다.
◆국가 해중공원벨트 조성
왕돌초와 동해 첨단 해양과학기지를 연계한 국내 유일의 국가 해중공원벨트 조성을 통해 해양환경의 보전과 울진만의 특색 있는 해양관광 인프라 구축에 나선다.
왕돌초는 후포항 동쪽 23㎞에 위치한 거대한 수중 암초로서, 나팔고둥, 유착나무돌산호 등 해양보호생물과 다양한 어종의 서식지로 해양수산 자원의 보고다.
왕돌초 생태경관보전을 위한 해양보호구역 설정의 방향 모색, 동해 첨단 해양과학기지 연계 해중관광 프로그램 개발, 후포 마리나항만을 활용한 요트 및 해상관광 프로그램 개발 등을 이끌어낼 수 있다.
◆해양치유센터 건립
동해안 최초로 건립될 '울진해양치유센터'는 2024년 완공을 목표로 국비 170억원을 포함한 총사업비 340억원을 들여, 평해읍 월송리 384번지 일대 4만2천408㎡ 부지에 지하1층, 지상 2층 규모로 조성된다.
본관동 1층에는 염지하수를 활용한 탈라소풀, 플로팅풀 및 야외치유시설(모래찜질실 등)과 샤워실, 휴게시설, 식당, 회의실 등 각종 편의시설이 들어서며, 2층에는 사운드테라피, 칼라테라피, 아로마테라피탕 등 테라피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부속동은 장기체류 대상자를 위한 시설로 1층에는 건강증진센터(검사실, 재활치료시설, 메티컬테라피센터 등)가, 2층에는 숙박시설(2인실, 가족실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해양치유센터가 완공되면 울진의 랜드마크는 물론 동해안을 넘어서 대한민국의 해양치유산업을 대표하는 곳으로 자리매김하게 된다.
전찬걸 울진군수는 "'군민과 함께 여는 미래 울진'이라는 슬로건으로 해양과학중심도시로의 도약에 군정의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면서 "대규모 그린수소 생산기반 조성과 환동해 심해연구센터, 국가해중공원벨트, 해양치유센터 등은 바다를 끼고 있는 울진의 미래를 책임질 수 있는 차세대 성장 동력으로서 각 사업이 마무리되면 울진을 한 단계 더 도약시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