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흘째 7천명 안팎, 오미크론 90명…방역·일상·경제 총체적 위기
접종 기간 단축 효과 1월부터…확진자 규모 줄이는 게 급선무
연말 모임·운영시간 제한 거론
거리두기 강화 임박에 “지역 특성 반영해야”
코로나19 확진자와 위중증 환자, 사망자수가 감당하기 힘든 규모로 치솟으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13일부터 '방역 패스' 등 방역 지침 위반 업소에 대한 과태료 부과에 들어가는 가운데, 이르면 이번 주 중 특단의 방역대책을 예고하고 나서 방역과 일상, 경제 등 모든 분야에 빨간불이 켜졌다.
단계적 일상 회복 기대감이 물거품 되는 것은 물론, 의료 붕괴와 봉쇄 수준의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소상공인·자영업자 타격 등 도미노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위기는 지표상으로 확연하게 드러난다. 나흘째 7천명 안팎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온데 이어 위중증 환자가 894명으로 역대 최다 기록을 경신했다.
12일 0시 기준 확진자는 대구 137명, 경북 147명을 포함해 6천689명으로 집계됐다. 사망자는 43명으로 누적 사망자는 4천253명(치명률 0.82%)에 달한다. 국내 오미크론 감염 환자는 해외 유입 23명, 국내 감염 67명이 확인돼 모두 90명이다.
수도권에선 병상이 비기를 기다리는 대기자가 1천739명으로 역다 최다를 보였고, 비수도권에선 경북과 강원의 중증 병상이 1개도 남지 않는 등 의료 붕괴 직전 상황이다.
당장 관건은 신규 확진자 규모를 줄이는 것이다. 정부는 13일부터 3차 접종 간격을 3개월로 단축했지만, 접종에 걸리는 시간과 항체가 생성되는 기간 등을 고려할 때 증가세 억제 효과는 내년 1월이 돼야 나오기 시작할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다 청소년층의 백신 거부감이 여전해 이달 말쯤엔 신규 확진자가 1만8천명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감염병 수리 예측 결과도 나왔다.
정부는 확산세를 잡지 못할 경우 특단의 대책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구체적으론 사적모임 규모 축소, 다중이용시설의 운영시간 제한 등이 거론된다. 이미 내부적으론 공직사회에 연말 모임 금지를 발령한 상태다.
다만, 위드 코로나로 다소 숨통을 튼 소상공인·자영업자 어려움을 가중시킬 수 있다는 게 큰 부담이다. 거리두기 강화 방향으로 후퇴하더라도 국내 발생 확진자가 12일 기준 수도권에 집중(4천989명·74.9%)돼 있는 만큼 지역별 상황과 특성을 고려해 탄력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상황이 악화되면 거리두기 등 방역 대책이 더욱 강화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는 지난 10일 인천시에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이번 주부터 방역강화 조치가 시행되고 있지만, 좀처럼 그 효과가 가시화되지 못하고 있다"며 "이른 시일 내에 위기 국면의 반전이 어렵다고 판단되면 정부는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등을 포함한 특단의 방역대책을 결정할 수밖에 없음을 거듭 말씀 드린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