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장은 어불성설

전두환 전 대통령 사망과 관련해 대구지역 시민단체들은 국가 차원의 추모를 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군사 쿠데타와 5·18 시민 학살은 어떤 이유로도 용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조광현 대구경실련 사무처장은 "역사의 교훈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전두환 신군부 세력이 저지른 학살은 용납받을 수 없다"며 "전혀 반성의 기미가 없었고, 어떤 의미에서는 뻔뻔한 입장을 주장했기 때문에 그의 사망에 있어서 어떠한 동정을 가질 수 없다"고 말했다.
강금수 대구참여연대 사무처장은 "본인 판단에 따라 고인을 추모하거나 문상을 가는 건 개인의 자유다"면서도 "공적 기관이나 정부 지원을 받는 단체 차원에서 기념사업을 한다든지 하는 것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반대한다"고 했다.
노태우 전 대통령과 달리 국가장 역시 말이 안 된다는 입장이다. 조 처장은 "노태우는 반성의 여지가 있고 고려할 만한 다양한 이유가 있었다. 전두환은 5·18 학살과 부정부패의 주범이지만 반성조차 하지 않은 범죄자다"며 "군사쿠데타의 주역으로 전직 대통령으로서 예우가 박탈된 사람에게 국가장은 말도 안 된다"고 말했다.
전두환 재임 시절 벌어진 인권유린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나왔다. 서창호 반빈곤네트워크 상임활동가는 "형제복지원 사건 등에서 볼 수 있듯이 88올림픽을 앞두고 사회적 빈곤층과 장애인들을 대규모 시설에 가둬놓는 대규모 인권유린을 자행했다"며 "반면 시설을 운영한 운영자에 대해서는 국가적으로 지원해 오늘날 사회복지 시설들의 비리의 원인을 제공한 사람이라 판단한다"고 했다.
이어 "장애인, 홈리스 등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지원이 아니라 강제수용하거나 사회에서 격리하는 시스템을 만들었다"며 "결과적으로 한국 사회의 시설이 거대해지고 이들을 시설에 격리하는 천편일률적 시스템을 만든 잘못도 있다"고 비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