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수소경제·백두대간권 녹색여가벨트 조성

입력 2021-11-17 11:15:22 수정 2021-11-17 20:10:47

국토부 해안·내륙 발전 새 청사진…초광역 인프라 구축·지역특화산업 발굴
총 557개 사업에 약 60조원 투입…대구·광주 산업구조 고도화 중점
생산유발 119조원‧신규고용 75만명 창출 기대

동해안권 주요 구상도. 국토부 제공.

국토교통부는 2030년까지 동해안권등 5개 초광역권의 미래 발전전략을 제시하는 해안‧내륙권 발전종합계획 변경안이 국토정책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됐다고 17일 밝혔다.

변경안은 해안내륙발전법의 시효가 2030년으로 10년 연장됨에 따라 권역별로 해당 지방자치단체들이 손잡고 필요한 추진사업을 직접 발굴한 것이다. 그동안 추진해 온 인프라 조성뿐 아니라 초광역적 지역특화벨트 구축 등 국가전략산업과의 연계를 대폭 강화했다.

총 사업 수는 국가, 지자체, 민간투자를 포함해 577개로 사업비는 약 60조원으로 추정된다. 투자액에 따른 생산유발효과 118조9천418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48조8천140억원, 고용창출효과 75만623명이 기대된다고 국토부는 밝혔다. 대구에서는 대구시와 8개 자치구, 경북에서는 경북도와 16개 시군이 사업 주체가 된다.

경북 5개 지자체가 참여하는 동해안권은 '지속가능한 환동해 블루 파워벨트'를 비전으로 에너지산업 신성장 동력화, 글로벌 신관광 허브 구축에 나선다. 특히, 수소경제 선도를 위한 수소경제벨트 조성,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위한 융복합 에너지 거점 구축 같은 에너지 산업의 신성장 동력화에 초점을 맞췄다. 구체적으로 포항시의 수소·연료전지 클러스터 구축 등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 동해안 내셔널 트레일(울진~포항) 구축, 영덕군의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조성 등 핵심사업 7건을 포함 83개 사업을 검토‧추진한다.

대구광주연계협력권 주요 구상도. 국토부 제공.
동해안권 주요 구상도. 국토부 제공.

백두대간권은 경북 7개 지자체가 중심이 돼 지역산업 고도화와 신산업 창출, 융복합형 녹색여가 벨트를 조성한다. 핵심 사업으로는 한반도 트레일 세계화, 신비한 지리산 D-백과사전 구축, 국립 임산물 클러스터 조성이 있다. 검토 추진 중인 사업은 총 155개에 달한다. 예천군의 백두대간 파워스풋 권역 개발은 대표적 핵심사업으로 꼽힌다. 봉화군에 국립임산물 클러스터를 만들고, 상주시에는 농산물 종합물류단지를 조성한다.

대구광주연계협력권 주요 구상도. 국토부 제공.

대구광주 연계협력권은 문화·관광·인적자원 활용·연계, 첨단·융합산업 중심 산업구조 고도화 등에 중점을 둔다. 동서화합 차원에서 문화 등 협력에 집중하되, 인공지능 중심 전략산업 지원을 확대해 지역산업 융복합으로 첨단 신성장산업을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영호남 동서 고대문화권 역사·관광루트, 인공지능 기반 바이오 헬스케어 밸리, 달빛예술 힐링체험공간 조성이 핵심 사업이다. 대구시와 경북 4개 지자체가 참여하는 가운데 87개 사업을 벌인다.

또 서해안권, 내륙첨단산업권 2개 권역은 각각 국제적 생태문화관광 조성과 첨단산업 육성에 중심을 두기로 했다. 5개 권역 외에 남해안권은 지난해 변경을 완료했다.

백원국 국토부 국토정책관은 "변경된 발전종합계획이 효과적으로 추진돼 각 권역이 혁신성장 기반을 조성하고 신경제발전 축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