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도내 분만 산부인과만 있는 지역에 공공산후조리원 설치 추진
김천, 상주, 영주 내년 개원…임신부 "안동·대구로 가야"
군 "조성할 위치 마땅찮다"
경북도청 신도시를 품은 예천군에 산후조리원 설치가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분만 산부인과가 있는 경북의 시·군마다 공공산후조리원 설치가 잇따르고 있지만, 정작 신도시 조성으로 매년 출생아 수가 증가하는 예천군의 움직임은 더딘 상태다.
16일 경북도 등에 따르면 도내에는 포항, 경주, 김천, 안동, 구미, 영천, 영주, 상주, 경산, 예천, 울진 등 11개 시군에 분만 산부인과가 있다. 이 중 민간 산후조리원까지 둔 곳은 포항, 경주, 안동, 구미, 영천, 경산 등 6곳에 불과하다.
이에 정부는 지방도시 중 분만 산부인과만 있는 지역에 공공산후조리원 설치를 지원키로 했다. 경북에서는 상주, 김천, 영주, 울진, 예천 등 5곳이 해당된다.
문제는 출생아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예천군만 공공산후조리원 설치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다는 것이다. 울진은 지난해 11월부터 운영에 들어갔고 김천과 상주, 영주는 2022년 내에 개원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예천군은 이렇다 할 계획조차 세우지 않고 있다.
특히 예천은 신도시 조성과 함께 출생아 수가 해마다 늘고 있어 산후조리원 설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예천군 출생아 수는 2016년 240명, 2017년 241명, 2018년 309명, 2019년 337명, 2020년 319명으로 점차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단계 개발이 이후 도시가 커질수록 조리원 수요는 더욱 늘어나 것으로 예상된다.
예천에 거주하는 한 임신부는 "예천에는 조리원이 없어 그나마 가까운 안동에 있는 조리원을 알아보고 있지만 출산일에 맞춰 자리가 없을 수도 있다는 얘기가 있어서 구미나 대구까지 조리원을 알아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임에도 예천군은 조리원에 대한 우선수위를 앞에 두지 않고 있다.
예천군 관계자는 "출생아 수가 300여 명이면 다른 도시에 비해 많은 숫자도 아니고 대도시에 있는 조리원을 원하는 산모들이 많아 지역 내 산후조리원을 필요로 수요는 많지 않다"면서 "예천은 조리원을 조성할 곳이 마땅치 않아 기간과 비용이 많이들 것으로 예상돼 우선은 원하는 곳에서 조리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