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살 한국계 미국인…"전자기타, 스케이트보드가 취미"
제작진 "작년 아시아계 혐오 확산 계기로 아시아계 인물 창조"
미국의 최장수 어린이 프로그램 '세서미 스트리트'에서 1969년 첫 방송 이후 처음으로 아시아계 인형 캐릭터가 데뷔했다. 한국계 미국인인 7살 '지영'이 그 주인공이다.
AP통신은 14일(현지시간) 세서미 스트리트가 1969년 첫 방송 이후 처음으로 아시안 캐릭터가 등장한다며, 새 주민이 된 지영을 단독 인터뷰 했다. 세서미 스트리트는 모든 어린이에게 평등한 교육을 제공한다는 취지로 다양한 인종과 배경을 가진 배우와 캐릭터들을 등장시키고 있다.
지영은 인터뷰에서 "한국에선 전통적으로 이름의 두 글자가 각자 (독립적인) 다른 의미를 가진다. '지'는 보통 똑똑하거나 현명하다는 뜻이고, '영'은 용감하거나 힘이 세다는 뜻"이라며 자신의 한자 이름을 소개했다.
지영은 전자기타 연주와 스케이트보드 타기가 취미라고 덧붙였다.
지영은 올해 추수감사절(11월 25일) HBO 맥스에서 방영되는 세서미 스트리트 스페셜 에피소드에서 처음으로 시청자들 앞에 모습을 드러낼 예정이다.
세서미 스트리트 제작에 관여하는 비영리 기구 '세서미 워크숍을 위한 창조와 생산'의 케이 윌슨 스털링스 부회장은 유색인종에 대한 경찰 폭력의 실상을 보여준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과 아시아계 미국인에 대한 혐오 범죄가 지영을 창조하게 된 배경이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아시아계와 태평양 출신의 경험에 초점을 맞추기로 한 순간부터 당연히 아시아계 캐릭터를 창조할 필요성을 느꼈다"고 말했다.
지영을 만들어내는 데 참여하고 직접 연기하는 사람은 한국계 인형술사인 캐슬린 김(41)이다. 캐슬린은 지영이 '범 아시아계'로 지칭돼선 안 된다는 점이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아시아계 미국인은 (출신에 무관하게) '아시아인'이란 단일체로 뭉뚱그려지는 경험을 한다. 그래서 통칭으로 '한국계'가 아니라 '한국계 미국인'이라고 구체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했다. 지영은 미국 출생이다"라고 말했다.
제작진은 지영이 쇼를 시청하는 어린이들에게 훌륭한 '업스탠더'(upstander)가 되는 방법을 가르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업스탠더는 세서미 스트리트에서 만들어진 단어로, 다수가 침묵할 때 앞장서 행동하는 사람을 뜻한다. 스털링스 부회장은 "피부색과 언어, 출신 등에 바탕을 둔 부정적 행동이나 말, 명백한 잘못 등을 지적하는 것이야말로 업스탠더가 되는 방법"이라고 말했다.
세서미 스트리트는 모든 어린이에게 평등한 교육을 제공한다는 취지로 다양한 인종과 배경을 가진 배우와 캐릭터들을 등장시키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