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드 코로나 일주일] 아동·청소년 확진 늘자…'백신패스 제외' 갑론을박

입력 2021-11-08 16:52:34 수정 2021-11-08 21:04:52

"감염 매개체 될라"-"일상생활 되겠나"
감염 차단 위해선 ‘백신패스 예외’ 폐지 주장…미접종자, 접종불가인 아이들 배려 차원에서 제외돼야

방역패스 제도가 시작된 8일 대구 시내의 한 헬스장(왼쪽)과 목욕탕(오른쪽)에서 관계자가 어르신에게 방역패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달 초 시작된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과 함께 이날부터는 백신접종 증명서나 PCR 음성확인서가 있어야 감염취약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방역패스 제도가 시작된 8일 대구 시내의 한 헬스장(왼쪽)과 목욕탕(오른쪽)에서 관계자가 어르신에게 방역패스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달 초 시작된 단계적 일상회복 전환과 함께 이날부터는 백신접종 증명서나 PCR 음성확인서가 있어야 감염취약 다중이용시설을 이용할 수 있다. 안성완 기자 asw0727@imaeil.com

정부가 백신패스 대상에 아동과 청소년을 제외한 것을 두고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최근 이들의 확산세가 두드러지기 때문인데, 감염 차단을 위해선 이들에게 백신패스를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반면 일각에선 활동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지적도 있다.

백신패스는 목욕장, 노래연습장, 실내체육시설 등의 시설을 이용할 때 '백신 접종 증명서' 또는 '48시간 이내 PCR 음성확인서'를 제출하도록 하는 방역지침이다. 이 같은 백신패스에 만 18세 이하의 아동과 청소년은 해당되지 않는다.

하지만 최근 이들이 지역 감염을 주도하자 시민들 사이에선 백신패스 제외가 재검토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8일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 북구 한 중학생이 확진돼 263명에 대한 검사가 이뤄졌다. 또 지난 5일에도 서구와 중구, 동구, 달서구 등 곳곳에서 학생과 원생이 확진돼, 수백 명이 검사를 받기도 했다.

대구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 10월 둘째 주부터 다섯째 주까지 유치원~고2(만 3~18세) 확진자는 39→43→22→77명으로 느는 추세다. 최근 일주일(지난달 31~이달 6일)은 61명으로, 같은 기간 대구 전체 확진자의 17%를 차지했다.

상황이 이렇자 아동과 청소년에 대한 백신패스 제외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활동력이 강한 이들이 지역 내 감염 확산세에 주요한 요인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시민 A(28) 씨는 "백신패스가 적용되는 곳들은 밀폐된 감염 취약시설이다. 미접종자인 데다 감염 여부를 모르는 아이들이 시설을 자유롭게 드나들면 감염도 쉽게 발생하고 또 다른 시설의 감염 매개체가 될 수 있다"며 "감염을 차단하려면 최소한 음성확인서라도 제출하고 시설에 들어가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시설에서도 백신패스에 제외되는 아이들을 들여보내는 데 위험부담이 크다. 대구 수성구 한 목욕탕 직원 B(47) 씨는 "백신 접종 증명서나 음성확인서를 제출하는 어른과 달리 아이들은 체온 검사하는 게 전부다. 혹시나 무증상 감염자가 있지는 않을까 걱정도 있다"고 말했다.

반면 이들에게 백신패스를 적용하는 것이 가혹하다는 의견도 있다. 실제 이들 가운데 백신 접종이 가능한 연령대는 만 12~17세이며, 접종률은 16.7%(8일 0시 기준)다. 이마저도 1차 접종이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만 11세 이하로는 아직 백신 접종 계획이 없다.

4살 딸을 둔 C(35·대구 달서구 장기동) 씨는 "접종이 가능한 나이라도 임상 결과가 충분하지 않아 백신을 꺼리는 부모들이 많다. 결국 음성확인서에 의존해야 하는데 48시간 내에서만 효력이 있어 매번 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며 "백신패스가 적용되면 아이와 부모 모두 감수해야 할 희생이 많아지기에 지금처럼 제외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