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힘 4인방 TK 여론조사] TK는 아직 尹 > 洪… 4지 선다에서도 윤석열 우위

입력 2021-10-31 18:00:00 수정 2021-11-02 17:57:29

이재명 상대 경쟁력 문항서 윤석열 46.5%… 홍준표는 37.9%

홍준표, 윤석열, 유승민, 원희룡. 연합뉴스
홍준표, 윤석열, 유승민, 원희룡. 연합뉴스
매일신문 국민의힘 대선후보 경선 관련 여론조사. 조사기관 소셜데이타리서치
매일신문 국민의힘 대선후보 경선 관련 여론조사. 조사기관 소셜데이타리서치

국민의힘 본경선 여론조사 방식(가상대결을 전제로 질문을 해 '4지 선다'로 답하는 방식)과 같은 질문지로 대구경북(TK)민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윤석열 예비후보의 지지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전국 단위 여론조사에서 홍준표 예비후보의 상승세가 두드러지고 있지만, 보수성향이 강한 TK에서는 여전히 윤 후보를 선호하는 응답이 더 많았다. 하지만 양 후보의 격차는 한자리수여서 닷새 앞으로 다가온 국민의힘 최종 후보가 누가 될지 주목된다.

특히 TK는 국민의힘 전체 당원의 4분의 1가량이 밀집해 있는 등 핵심 지지층이 가장 많은 지역이어서 향후 경선 결과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도 관심이 쏠린다.

매일신문이 여론조사회사 소셜데이타리서치에 의뢰해 10월 29~31일 대구경북에 사는 만 18세 이상 1천35명을 상대로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오차범위 95% 신뢰수준에 ±3.0%포인트〈p〉)에 따르면, '이재명 후보에게 가장 경쟁력 있는 국민의힘 후보'를 물은 항목에 응답자의 46.5%가 윤석열 후보를 선택했다. 홍준표 후보가 37.9%로 뒤를 이었으며, 윤 후보와 홍 후보의 차이는 오차범위 밖인 8.6%p였다.

이어 유승민 후보(6.8%), 원희룡 후보(2.8%) 순으로 나타났다. '없음'과 '잘 모름' 등 부동층은 6.0%였다.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27일 오후 강원 춘천시 동면 G1 강원민방에서 열린 강원지역 합동토론회에 참석해 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석열, 원희룡, 유승민, 홍준표 후보. 연합뉴스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27일 오후 강원 춘천시 동면 G1 강원민방에서 열린 강원지역 합동토론회에 참석해 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윤석열, 원희룡, 유승민, 홍준표 후보. 연합뉴스

이번 조사는 국민의힘 대선 경선 선거관리위원회가 결정한 본경선 여론조사 문항에 따라 진행됐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를 상대로 누가 가장 경쟁력이 있느냐'는 질문에 네 명 후보의 이름을 '4지 선다'식으로 물었다.

연령대 별로 윤석열 후보는 50대와 60대에서 우위를 점했으며, 홍준표 후보는 만 18세~20대와 30대, 40대에서 우세했다. 성별로는 남성에서 홍 후보가 다소 우위였던 반면 여성층에서는 윤 후보의 지지율이 더 높았다.

한편, 이재명 민주당 후보와 심상정 정의당 후보,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를 상대로 국민의힘 윤석열·홍준표 후보를 각각 가정하고 조사한 '본선 4자 가상대결'에서는 모두 국민의힘 후보가 가장 높은 지지를 받았다.

세부적으로 국민의힘에서 윤석열 후보 출마를 가정할 경우 윤 후보가 57.1%, 이재명 후보는 16.8%의 지지를 얻었으며, 홍준표 후보 출마를 가정했을 때는 홍 후보가 50.3%, 이 후보는 14.9%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이번 여론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소셜데이타리서치 또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매일신문 국민의힘 대선후보 경선 관련 여론조사 개요

▷의뢰기관: 매일신문
▷조사대상: 대구경북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표본 수: 1,035명
▷표본오차: ±3.0%p (95% 신뢰수준)
▷응답률: 3.2% (무선ARS 5.1%, 유선ARS 1.6%)
▷표본구성: 무선ARS 69.2%, 유선ARS 30.8%
▷표집틀:
무선 - SK, KT, LG 이동통신사 제공 무선 가상번호
유선 - 무작위 생성 전화번호
▷표집방법: 무선 가상번호 및 유선 RDD 표본 내 무작위 추출
▷조사방법: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유무선 자동응답조사(ARS)
▷통계보정:
2021년 9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
지역, 성, 연령 별 인구비례에 따른 가중치 적용 (셀 가중)
▷조사기간: 2021년 10월 29일~31일 (3일 간)
▷조사기관: 소셜데이타리서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