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촉자 격리 기간 '2주→10일'
일상회복이 시작되면 외국처럼 확진자가 급증할 수도 있다. 1천∼2천 명 수준의 일일 신규 확진자가 4천∼5천 명까지 늘 수 있는 만큼 정부는 PCR 검사 역량을 하루 65만 명 수준으로 확대하고, 위치정보와 신용카드 사용내역, QR코드 전자출입명부 등을 연계하는 '전자적 위험동선 확인기술'(Digital tracing)을 도입해 역학조사 효율성을 높이기로 했다. 의사협회는 5차 대유행과 하루 2만 명 확진 가능성을 언급했다.
정부는 중환자실·입원병상 가동률이 75%를 넘거나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가 급증하는 등 위기 상황이 오면 일상회복 단계를 잠시 중단하고, '비상계획'을 발동한다. 백신패스 확대, 사적모임 제한 강화, 행사 규모·시간 제한, 요양병원 등 면회 금지, 종사자 선제검사, 병상 긴급 확보 등을 통해 방역 상황을 안정화한다는 계획이다.
일상회복 과정에서는 '재택치료'가 원칙이다. 70세 이상, 노숙인, 정신질환자, 투석환자 등을 제외한 무증상·경증 환자는 집에서 치료를 받는다. 접촉자 격리 기간도 2주에서 10일로 줄이고 격리 해제 전 PCR 검사를 통해 음성 여부를 확인한다.
정부는 해외 제약사로부터 코로나19 경구용(알약) 치료제 40만4천 명분을 확보한다. 27만 명분은 정식 계약 및 선구매 계약으로 확보했고, 첫 물량은 내년 1분기에 공급된다. 고위험 환자에게 처방되면 중증화 비율을 낮출 것으로 기대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