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생산자 물가 10년만에 최대폭 상승

입력 2021-10-21 09:12:15

생산자물가지수 6개월째 최고기록 새로 써

[그래픽] 생산자물가 증가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11.13(2015년 수준 100)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월 대비 등락률은 7.5%로, 2011년 4월 역대 최고 상승률(8.1%) 이후 10년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0eun@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끝)
[그래픽] 생산자물가 증가 추이 (서울=연합뉴스) 김영은 기자 =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11.13(2015년 수준 100)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월 대비 등락률은 7.5%로, 2011년 4월 역대 최고 상승률(8.1%) 이후 10년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0eun@yna.co.kr 트위터 @yonhap_graphics 페이스북 tuney.kr/LeYN1 (끝)

9월 생산자 물가가 1년전 대비 7.5% 오르며 10년만에 최대폭의 상승을 기록했다.

2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9월 생산자 물가지수는 111.13(2015년=100)으로 8월(110.86)보다 0.2% 올랐다. 이는 11개월 연속 상승이자 지난 4월 이후 6개월째 최고기록을 새로 쓰는 상황이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서도 7.5% 올랐으며 이는 상승률을 기준으로 2011년 4월 기록한 역대 최고 상승률(8.1%) 이후 최고 기록이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국제 유가 상승 등에 따라 석탄·석유제품과 제1차 금속제품(열연강판 등)의 전년 동월 대비 상승률이 각각 59.2%, 31.7%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전월 대비 기준 품목별로는 공산품 물가가 0.3% 상승했다. 공산품 중 석탄·석유제품의 상승률이 2.1%로 가장 높았고, 화학제품과 1차 금속제품도 0.4%씩 올랐다. 전력·가스·수도·폐기물 물가도 2.0% 올랐다.

농림수산품 물가는 0.8% 떨어지며 상승폭을 다소 낮췄다. 축산물과 수산물이 각 0.6%, 0.5% 올랐지만 농산품이 2.0% 하락한 영향이 컸다.

가격 변동 요인이 큰 식료품 및 에너지 이외 품목에 대한 생산자 물가는 전월대비 0.2% 상승했다. 수입품까지 포함해 가격 변동을 측정한 국내공급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3%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