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해산된 울릉도에너지자립섬 사업 손실액 113억원

입력 2021-10-11 15:15:01

2014년 사업 시작했다 지열발전 논란 등으로 좌절
한국전력 34억원, 경북도 23억원 등 투입 비용 손실

울릉도 전경. 경북도 제공
울릉도 전경. 경북도 제공

지열발전에 대한 부정적 여론 등으로 인해 좌초된 울릉도 친환경 에너지 자립섬 조성사업이 100억원이 넘는 손실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신영대 국회의원(전북 군산)에 따르면 울릉도 친환경 에너지 자립섬 사업을 위해 설립된 특수목적법인인 울릉도 친환경에너지 자립섬㈜에 해산 직전까지 출자된 금액은 한국전력 80억원, 경북도·울릉군 58억원, LG CNS 80억원, 도화엔지니어링 50억원 등 총 268억원이다.

이 가운데 손실액은 한전 34억원 등 총 113억인 것으로 집계됐다. 경북도의 경우 23억원가량 손실이 난 것으로 전해졌다. 사업은 좌초됐지만 설계 등에 예산이 들었기 때문이다.

울릉도 친환경 에너지 자립섬 조성사업은 2014년 9월 박근혜 대통령이 주재한 에너지산업 대토론회에서 논의되며 주목받았다. 연료전지 23㎿, 풍력 8㎿, 지열 4㎿, 태양광 1㎿, 소수력 0.6㎿ 등 36.6㎿ 규모의 친환경 에너지 설비를 조성해 울릉도를 에너지 자립섬으로 만드는 구상이다.

2016년 7월에는 산업부가 외부로부터 연료를 공급받아야 하는 연료전지 중심의 발전이 자립섬 취지에 어긋난다고 판단, 연료전지를 지열발전으로 계획을 변경했다.

하지만 이게 큰 패착이 됐다. 2017년 11월 발생한 포항지진의 원인으로 지열발전소가 지목되며 난항을 겪기 시작했고 이를 대체할 태양광, 풍력발전 등은 부지 확보가 쉽지 않았다.

결국 2019년 5월 한전과 LG CNS, 도화엔지니어링 등은 이사회를 열고 특수목적법인 해산을 결정하고 사업을 중단했다. 신영대 의원은 "울릉도 친환경 에너지 자립섬 사업은 박근혜 정부의 창조경제 실적 쌓기용으로 졸속 추진된 사업"이라고 지적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친환경 에너지를 활용해 울릉도를 전력 자립섬으로 만들려고 하는 취지는 좋았다고 생각한다"면서 "포항지진과 지열발전 논란 등 대형 악재를 극복하기 어려웠고 법인 청산 등은 이미 수년 전 마무리된 사안"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