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시내버스, 임원 봉급 7.9% 오를 동안 운전기사는 3.5%만 올렸다

입력 2021-10-07 15:54:56

적자로 '준공영제' 세금 1천800억 지원받는데
임원 평균임금 '8천400만원'… 매년 7.9% 인상

대구 도심을 운행중인 시내버스 내부 모습. 매일신문DB
대구 도심을 운행중인 시내버스 내부 모습. 매일신문DB

준공영제로 세금 지원을 받는 대구 시내버스 업체들의 임원 평균 급여가 지난 2019년 기준 8천400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5~2019년 5년 간 대구 시내버스 업체 임원들의 임금 인상률은 7.9% 수준이었는데, 같은 기간 운전기사들의 봉급은 3.47%만 오른 것으로 드러났다.

박우근 대구시의원
박우근 대구시의원

박우근 시의원(남구1)은 7일 열린 시의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버스업체 임원 급여와 자가 차고지비 등 시내버스 준공영제 운영을 위한 표준운송원가 산정 기준을 재검토해야한다고 촉구했다.

박 시의원에 따르면, 지난 2019년 기준 대구 시내버스 업체 임원의 1인 평균 급여는 8천400만원 수준이었다. 같은 해 통계청이 발표한 국내 임금 근로자 평균 임금이 연간 3천708만원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고액 연봉을 받은 셈이다.

특히 2015~2019년까지 5년 간 시내버스 업체 임원들의 연봉은 연 평균 7.9%씩 상승했는데, 같은 기간 운전기사들의 임금은 3.47% 오르는 데 그쳤다.

대구시는 시내버스 업체에 버스 운행을 맡기되 적자가 발생하면 재정지원금을 지급하는 식으로 준공영제를 운영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적자로 재정 지원금을 받으면서도 임원들의 임금은 과도하게 올리는 등 방만 경영을 일삼은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지난 2006년 시내버스 준공영제 첫 도입 당시 대구시가 버스업체에 지급한 재정지원금은 413억원이었지만 지난해에는 1천819억원으로 4.4배 가량 늘어났다.

박 시의원은 "2019년보다도 499억원이나 지원금이 증가, 대구시 재정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만큼 버스업체도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 표준운송원가 산정기준 재검토를 통해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 방법으로는 ▷버스업체 소유 자가 차고지에 대한 비용 산정기준 재검토 ▷버스업체 임원 급여수준 동결 또는 인상 억제 등을 제시했다.

박 시의원은 "차고지비는 공시지가를 반영해 산정하는데, 최근 가파른 지가 상승 탓에 지속적으로 늘어났다. 대구시가 버스업체의 차고지 투자비에 대해 재정지원을 하는 것은 업체 측이 특별한 노력 없이 재정지원 혜택을 누리게 돼 불합리하다"고 지적했다.

송영헌 대구시의원
송영헌 대구시의원

한편, 이날 송영헌 시의원(달서2)은 한국지역난방공사의 친환경 에너지 개체사업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라고 대구시에 촉구했다.

송 시의원은 "지역난방공사가 44㎿ 규모 발전용량을 261㎿로 6배 증설하면서 주민에게 제대로 된 설명조차 하지 않고 있다"며 "가정용 2천 배에 이르는 고압가스관을 고려해 명확한 해명이 필요하고, 벙커C유 사용으로 수십년 간 고통을 감내해온 지역 주민들을 위한 납득할 만한 피해보상책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임태상 대구시의원
임태상 대구시의원

임태상 시의원(서구2)은 지난해 대구시 재정에서 순세계잉여금이 과도하게 발생한 점을 지적했다.

임 시의원은 "지난해 대구시의 순세계잉여금은 4천458억원에 달했으며, 상당부분이 중앙정부 조세정책 변화로 인한 초과세입금"이라며 "예산 편성 및 기획 역량 향상을 위해 급변하는 중앙정부 정책 변화에 대응하는 대정부 조세정책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한다"꼬 주장했다.

하병문 대구시의원
하병문 대구시의원

하병문 시의원(북구4)은 대학가 주변 원룸촌 쓰레기 불법투기 근절을 위한 대책 마련을 대구시에 주문했다.

하 시의원은 "원룸촌 1인 가구에 적합한 종량제 봉투 제작과 주로 불법투기가 이뤄지는 자투리 땅의 활용방안을 마련하는 등 대책이 필요하다"며 "지역 특성에 맞는 중점 관리구역을 지금보다 더 확대해 인력을 우선 배치하고, 필요한 예산은 대구시에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