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당 설치된 ATM 서울 34.9대-강원 0.3대…지역 편차 커
국내에 설치된 현금자동입출금기(ATM)가 1년 새 1만개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에서도 ATM 155개가 자취를 감췄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관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3일 한국은행에서 받은 '광역시도별 ATM 설치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에 설치된 ATM 수는 11만7천623대로 전년 대비 1만769개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줄어든 ATM 수는 서울이 896개로 가장 많았다. 부산(417개)과 경기(179개), 인천(176개), 대구(155개)가 뒤를 이었다.
ATM 대수가 소폭 늘어난 곳도 있었다. 다만 일부 광역 시·도에서는 ATM 대수가 소폭 늘어났다. 울산이 52개 늘었고, 세종 45개, 전남 33개, 경북 30개, 강원 27개, 충북 13개, 제주 10개 순으로 각각 증가했다.
단위면적(1㎢)당 설치된 ATM 대수는 서울은 34.9대, 강원도는 0.3대로, 지역 간 편차가 매우 컸다.
지역에 따라 ATM 설치대수 편차는 꽤 컸다. 작년 말 기준으로 단위면적(1㎢)당 설치된 ATM 대수를 보면 서울이 34.9대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부산 9.1대, 광주 6.6대, 대전 6.1대, 대구 5.9대, 인천 5.6대, 울산 2.7대, 경기 2.7대, 제주 1.1대 순이었다.
특히 농촌 지역 비중이 높은 곳은 1㎢당 설치된 ATM이 하나도 안됐다. 경남 0.8대, 충남 0.7대, 충북 0.6대, 전북 0.5대, 경북 0.4대, 전남 0.4대, 강원 0.3대 등으로 조사됐다.
윤 의원은 "금융당국은 '포용금융' 관점에서 ATM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방안을 마련해 지역 간의 현금 접근권 격차를 줄여야 한다"며 "이를 위해 한국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과 VAN사 등이 긴밀하게 협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작년 말 기준으로 단위면적(1㎢)당 설치된 ATM 대수를 보면 서울이 34.9대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부산 9.1대, 광주 6.6대, 대전 6.1대, 대구 5.9대, 인천 5.6대, 울산 2.7대, 경기 2.7대, 제주 1.1대 순이었다.
이외 경남 0.8대, 충남 0.7대, 충북 0.6대, 전북 0.5대, 경북 0.4대, 전남 0.4대, 강원 0.3대 등으로 조사됐다.
윤 의원은 "금융당국은 '포용금융' 관점에서 ATM 자원의 효율적인 이용방안을 마련해 지역 간의 현금 접근권 격차를 줄여야 한다"며 "이를 위해 한국은행을 비롯한 금융기관과 VAN사 등이 긴밀하게 협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