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일과를 끝내고 집을 둘러보면 아이 방과 거실 바닥엔 장난감과 그림책들이 널브러져 지나다닐 길이 없고 옷장, 수납장은 안 입고 안 쓰는 물건들로 가득 차 '전부 싹 치웠으면' 싶었던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신박한 정리'라는 TV 프로그램의 애청자가 되면서 미니멀 라이프를 살아보기로 마음먹었다.
미니멀 라이프(minimal life)란 불필요한 물건이나 일 등을 줄이고,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적은 물건으로 살아가는 단순한 생활방식이다. '비울수록 행복해진다'는 가치를 담은 미니멀 라이프가 최근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이미 수년 전의 트렌드지만 최근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 단순한 동시에 깔끔한 공간에 대한 수요가 많아지면서 이를 실천하는 삶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진 것이다. 주요 대형서점에선 미니멀 라이프, 정리의 기술과 관련된 도서의 판매량이 여전하다.
나는 물건 욕심이 많다. 그릇으로 부엌 수납장을 가득 채우고 값비싼 찻잔세트는 딱 한 번 쓰고 고이 모셔뒀다. 언제 쓸지 모르지만 필요할 때 없으면 아쉬울 거란 생각에 버리질 못한다. 책 좀 읽어보자고 결심하고 올해 초부터 사다 모은 베스트셀러들은 먼지만 쌓여간다. 옷장에는 매 계절 사다 모은 옷들이 가득하지만 정작 출근할 땐 입을 옷이 없어 고민이다. 갖고 싶던 걸 손에 넣은 기쁨은 사실 그리 오래가지 않는다. 금방 돌아서 새로운 뭔가를 찾아 헤매는 나만 봐도 그렇다.
미니멀 라이프의 시작은 불필요한 물건을 버리는 것이다. 하지만 쓸모없다고 쿨하게 버리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따지고 보면 생각 없이 그냥 두는 물건은 없다. 언젠가는 필요할 것이고 저마다 나름의 사연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더 이상 설레지 않는 물건은 버려야 한다.
홀가분한 삶을 살기 위해서는 단순히 옷, 물건 등만 정리해서는 안 된다. 시간과 생각을 비우는 것도 중요하다. 미니멀 라이프를 실천하기로 했다면, 불필요하게 낭비하는 시간을 줄이고 머릿속 쓸데없는 생각들도 줄여보자.
일본의 대표적인 미니멀리스트인 사사키 후미오는 '나는 단순하게 살기로 했다'에서 "필요한 물건들을 갖고 있으면서도 내게 없는 물건에만 온통 신경이 쏠려 있으니 조금도 행복하지 않았다"고 썼다. 또 "물건을 줄일수록 자신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건 무엇인지 스스로 묻고 생각하게 되었고 무엇보다 남과 비교하는 습관이 없어졌다"고 고백했다.
'미니멀 라이프', '미니멀리즘'이라는 단어는 필요한 물건만 남기고 비우는 데서 시작됐지만, 지금은 필요한 물건이 아니면 사지 않는 트렌드로 바뀌고 있다. 사기 전에 쓰임새를 먼저 생각하고 구매하는 것이다.
무엇인가를 소유하려 하기보다는 '내게 진정으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우선으로 생각하고 물질적인 것이 아닌 본질적인 나의 삶이나 행복, 그리고 가족과 일상의 소소한 것들에 대해 조금 더 애정을 갖는 소박하고 단순한 삶을 살아 보는 건 어떨까?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