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분석 결과, GDP·수출·국가경쟁력 등에서 중국>한국
중국이 지난 29년간 다수 경제지표에서 한국을 추월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4일 한중 수교 29주년을 맞아 23일 발표한 '한중 간 경제·경쟁력 격차 변화' 비교·분석 결과에 따르면, 중국은 수교 이후 국내총생산(GDP)에서 한국을 크게 앞질렀다.
명목 기준 한국의 GDP는 지난 1992년 3천560억달러에서 2020년 1조6천310억달러로 4.6배 증가하는 데 그쳤으나, 같은 기간 중국은 4천920억달러에서 14조7천230억달러로 29.9배 폭증했다.
이에 따라 한중간 명목 GDP 격차는 같은 기간 1.4배에서 9.0배로 크게 벌어졌다.
명목 1인당 GDP도 한국은 1992년 8천126달러에서 2020년 3만1천497달러로 3.9배 느는데 그쳤지만 중국은 420달러에서 25배인 1만484달러로 급증했다.
29년 전 한국의 5.2%에 불과했던 중국의 명목 1인당 GDP가 2020년에는 33.3% 수준까지 쫓아온 것이다.
대외부문 지표에서도 중국은 이제 한국과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이 됐다.
한국의 수출액은 1992년 770억 달러에서 2020년 5천130억 달러로 6.7배 성장했지만, 중국은 860억 달러에서 5조5천980억 달러로 65.1배 증가했다.
1992년 한국과 중국이 비슷한 수준이었던 교역액 또한 2020년 한국은 9천810억 달러를 기록했지만 중국은 한국의 7.8배인 7조6천580억 달러를 기록했다.
외국인직접투자 격차도 크게 벌어졌다.
지난 29년간 한국의 외국인직접투자는 10억200만달러에서 92억2천400만 달러로 9.2배 증가했지만, 중국은 110억800만달러에서 1천493억2천400만 달러로 13.6배 늘어 한국보다 성장률이 높았다.
기업의 경쟁력을 보여주는 지표인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 수는 1995년 한국이 8개, 중국(홍콩 포함)이 3개였지만 올해는 중국이 135개로 15개인 한국을 크게 앞질렀다.
전경련 관계자는 "한국은 중국의 급성장을 교훈 삼아 중국과의 경제교류를 확대하고 신흥시장 진출을 통한 지속 성장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