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APEC 정상회의 경주 유치’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
경북 경주시가 국제회의와 전시, 컨벤션 등 마이스(MICE) 산업 메카를 목표로 '국제회의 복합지구' 지정을 추진한다.
25일 경주시에 따르면 국제회의 복합지구는 '국제회의산업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전문회의 시설과 그 주변에 문화산업, 숙박, 쇼핑, 관광 및 교통시스템 등의 시설이 집적된 구역이다.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국제회의 복합지구 육성·진흥계획을 승인하고 시·도지사가 지정한다.
국제회의 복합지구로 지정되면 관광진흥법상 관광특구에 준해 재정이 지원되고 용적률 완화나 교통유발금 등 각종 부담금 감면, 활성화 사업비 지원과 같은 여러 혜택이 주어진다. 회의 참가자들의 쇼핑·관광 활동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파급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현재 대구(엑스코)와 부산(벡스코), 인천(송도컨벤시아), 광주(김대중컨벤션센터), 경기 고양(킨텍스) 등 5곳이 국제회의 복합지구로 지정돼 있다. 정부는 향후 5곳 정도를 추가로 지정할 계획이다.
시는 내년 2월 보문관광단지 내 경주화백컨벤션센터(하이코) 주변을 국제회의 복합지구로 신청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제회의 복합지구 지정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 나선 상태로, 다음 달 쯤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온다.
경주시는 2014년 이미 '국제회의 도시'로 지정된 데다 2012년 APEC교육장관회의, 2015년 세계물포럼, 2016년 유엔NGO컨퍼런스, 2017년 세계유산도시기구 세계총회 등 대규모 국제행사를 성공적으로 치른 점을 장점으로 꼽고 있다.
경북도와 함께 추진하는 'APEC 정상회의 경주 유치'를 위해서도 반드시 국제회의 복합지구 지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경주시 한 관계자는 "APEC 정상회의 개최지 최종 선정은 2023년쯤으로 예정돼 있다"며 "내년 5월 경주시가 국제회의 복합지구로 지정되면 APEC 유치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