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명 중 8명 3년 이상 백수…200만원 미만 일자리 여성 많아
청년들이 졸업 후 평균 10개월을 취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취업에 성공해도 초봉은 대부분 월 200만원 미만이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 등을 담은 '2021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15~29세) 부가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첫 일자리가 임금근로자인 경우 졸업(중퇴) 후 첫 취업까지 평균 10.1개월 걸렸다. 청년들은 대개 임금근로자로 첫 일자리를 시작한다.
졸업 후 3개월 넘지 않은 기간에 청년 47.4%가 첫 직장을 구했지만 절반 이상은 3개월 이상 걸렸다. 1~2년이 걸린 청년은 11.7%, 2~3년은 6.7%, 3년 이상이 걸린 경우도 8.2%나 됐다.
첫 취업까지 평균 소요 기간은 고졸 이하가 1년 2.2개월로, 대졸 이상의 7.7개월보다 길었다.
첫 직장은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40.6%) ▷도소매·숙박음식업(29.0%) ▷광·제조업(16.2%) 순이었다.
직업으로 살펴보면 ▷서비스·판매종사자(32.7%)가 가장 많았고, ▷관리자·전문가(22.5%) ▷사무종사자(21.6%) 순이었다.
첫 직장에 취업할 당시 임금(수입)은 월 200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73.3%에 달했다. 4명 중 3명꼴로 초봉 200만원 미만 일자리에 첫 취업한다는 것이다.
초봉 200만원을 넘는 일자리에 취업한 비중은 26.7%에 그쳤다.
급여 측면에선 남녀 간 격차도 상당하다.
남성의 경우 200만원 미만의 비중이 68.2%, 200만원 이상의 비중이 31.7%인데 비해 여성은 200만원 미만의 비중이 77.9%, 200만원 이상 비중은 22.0%에 머문다.
근로형태는 계약기간을 정하지 않았으나 계속 근무할 수 있는 일자리인 경우가 52.9%로 가장 많았고, 계약기간이 정해진 일자리는 33.5% 비중을 차지했다.
첫 직장에서 평균 근속기간은 1년 6.2개월로 0.7개월 늘었다. 첫 직장 근속기간은 2012년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첫 직장을 그만둔 사유로는 보수나 근로시간 등 근로 여건에 만족하지 못한 경우가 46.2%로 가장 많았다.
건강이나 육아, 결혼 등 개인·가족적 이유가 14.5%, 임시·계절적인 일의 완료나 계약기간 종료가 13.2% 비중을 차지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