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하고 평균 10개월 백수…취업해도 초봉 200만원 미만

입력 2021-07-20 15:30:49

100명 중 8명 3년 이상 백수…200만원 미만 일자리 여성 많아

대구지역 한 대학교 캠퍼스 도서관에서 학생들이 공부 중이다. 20일 통계청에 따르면 청년들이 졸업 후 평균 10개월 동안 취업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일신문 DB
대구지역 한 대학교 캠퍼스 도서관에서 학생들이 공부 중이다. 20일 통계청에 따르면 청년들이 졸업 후 평균 10개월 동안 취업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일신문 DB

청년들이 졸업 후 평균 10개월을 취업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취업에 성공해도 초봉은 대부분 월 200만원 미만이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 등을 담은 '2021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15~29세) 부가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첫 일자리가 임금근로자인 경우 졸업(중퇴) 후 첫 취업까지 평균 10.1개월 걸렸다. 청년들은 대개 임금근로자로 첫 일자리를 시작한다.

졸업 후 3개월 넘지 않은 기간에 청년 47.4%가 첫 직장을 구했지만 절반 이상은 3개월 이상 걸렸다. 1~2년이 걸린 청년은 11.7%, 2~3년은 6.7%, 3년 이상이 걸린 경우도 8.2%나 됐다.

첫 취업까지 평균 소요 기간은 고졸 이하가 1년 2.2개월로, 대졸 이상의 7.7개월보다 길었다.

첫 직장은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40.6%) ▷도소매·숙박음식업(29.0%) ▷광·제조업(16.2%) 순이었다.

직업으로 살펴보면 ▷서비스·판매종사자(32.7%)가 가장 많았고, ▷관리자·전문가(22.5%) ▷사무종사자(21.6%) 순이었다.

첫 직장에 취업할 당시 임금(수입)은 월 200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73.3%에 달했다. 4명 중 3명꼴로 초봉 200만원 미만 일자리에 첫 취업한다는 것이다.

초봉 200만원을 넘는 일자리에 취업한 비중은 26.7%에 그쳤다.

급여 측면에선 남녀 간 격차도 상당하다.

남성의 경우 200만원 미만의 비중이 68.2%, 200만원 이상의 비중이 31.7%인데 비해 여성은 200만원 미만의 비중이 77.9%, 200만원 이상 비중은 22.0%에 머문다.

근로형태는 계약기간을 정하지 않았으나 계속 근무할 수 있는 일자리인 경우가 52.9%로 가장 많았고, 계약기간이 정해진 일자리는 33.5% 비중을 차지했다.

첫 직장에서 평균 근속기간은 1년 6.2개월로 0.7개월 늘었다. 첫 직장 근속기간은 2012년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첫 직장을 그만둔 사유로는 보수나 근로시간 등 근로 여건에 만족하지 못한 경우가 46.2%로 가장 많았다.

건강이나 육아, 결혼 등 개인·가족적 이유가 14.5%, 임시·계절적인 일의 완료나 계약기간 종료가 13.2% 비중을 차지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