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 여건 악화에 작황 부진, 조류 인플루엔자로 산란계 머릿수도 줄어
하반기 계란 공급량 회복·작물 수확기 돌아오면서 가격 안정 전망
올 상반기 국내 농축수산물 물가가 10% 이상 뛰어 30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작황 부진과 조류 인플루엔자(AI) 여파가 이어진 탓에 서민 밥상 근심이 유독 컸다.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1~6월 농축수산물 물가지수는 전년 누계 대비 12.6% 올랐다. 이는 2011년(12.5%) 이후 10년 만의 두 자릿수 상승률로, 상반기 기준으로는 1991년(14.8%) 이후 3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월간 기준으로도 1월부터 지난달까지 6개월 연속으로 두 자릿수 상승률을 나타냈다.
파 가격이 가장 크게 올랐다. 올 상반기 156.6% 뛰어 1994년 이후 27년 만의 최고 상승률을 나타냈다. 올해 초 한파 영향으로 생산량이 줄었고, 지난해 가격이 급락한 기저효과까지 반영된 영향이다. 이런 결과는 '파테크'(파값을 아끼려 집에서 직접 재배해 먹는 것)'라는 신조어를 만들기도 했다.
사과(54.3%) 역시 1999년 이후 22년 만에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배(47.0%)와 복숭아(43.8%), 감(22.0%) 등 기타 과실류와 마늘(45.7%), 고춧가루(34.9%) 등 향신료 가격이 대폭 뛰었다.
가격 급등세가 여전한 달걀도 38.9% 올라 2017년 이후 4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올랐다. 정부가 AI에 대응해 상반기에만 계란 2억개 이상을 수입하며 가격 안정에 힘쏟았으나 아직 역부족이다.
상반기 농축수산물 물가가 오른 것은 기상, 유행병 등 다양한 가격 상승 요인이 한꺼번에 겹친 영향이다. 기상 악화로 농산물 작황 부진이 이어졌고, 지난 겨울 AI 유행에 산란계가 줄어 계란 생산 기반도 예년 수준을 밑돌고 있다.
이런 상황은 서민 장바구니 물가로도 직결될 전망이다. 반찬거리 물가가 뛰면 체감 물가 상승률은 실제 상승률보다 더욱 클 수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하반기 들어 농축수산물 가격이 안정될 것이라 내다봤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최근 봄 작형 출하로 6월 농산물 가격이 4개월 연속으로 전월 대비 하락하면서 상승세가 둔화했다"면서 "농축수산물 가격은 3분기 계란 공급량 회복과 4분기 곡물·과실류 수확기에 따른 공급 회복으로 점차 하향 안정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전체 소비자물가지수는 올해 상반기 1.8% 올라 2017년(2.1%) 이후 4년 만에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