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배출 규제 지속적 강화 예상, 지역기업 생존에 직결
대구시와 대구상공회의소는 최근 가속화되는 정부의 산업 부문 탄소중립 정책에 따라 1일 대구시청 별관에서 '지역 경제·산업 탄소중립 전환 간담회'를 열었다.
이번 행사는 대구경영자총협회, 중소기업중앙회 등 경제단체를 비롯해 에너지 소비량이 많은 기업이 집적한 성서산업단지관리공단, 염색산업단지관리공단과 대주기계, 평화홀딩스, 대성에너지, 한국에너지공단 관계자 등 지역 경제·산업 분야 관계자 2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간담회는 우선 산업연구원이 '정부 산업 부문 탄소중립 전환 정책 방향 및 지역의 역할', 대구경북연구원이 '대구 지역 산업 부문 탄소중립 방향과 과제'에 대해 발표를 마친 후, 홍의락 대구시 경제부시장 주재로 의견 청취 및 자유토론 순서로 진행됐다.
정부는 '탄소중립 2050 추진 전략'에 따라, 경제·산업·사회 전 분야에 걸쳐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위한 세부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며, 특히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 4월 '탄소중립 산업 전환 추진위원회'를 출범시켜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의 35.8%를 차지하고 있는 산업 부문에서의 탄소중립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8년 기준 대구의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총 934만2천t이며, 수송 분야 372만2천t(39.8%), 가정·상업 분야 203만7천t(21.8%), 산업 분야 178만3천t(19.1%) 순으로 배출 비중이 컸다.
대구시 관계자는 "산업 부문의 탄소배출은 수송, 가정·상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지만, EU·미국의 탄소국경세, 글로벌 기업의 부품·소재 공급 협력업체에 대한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참여 요구 확대 등 탄소배출 규제는 지속적으로 강화될 것"이라며 "향후 탄소중립은 지역 기업의 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과제가 될 전망"이라고 짚었다.
홍의락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지역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탄소중립을 준비하는 것이 큰 부담일 수도 있지만, 지금부터 미리 준비한다면 지역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대구시는 앞으로도 신재생에너지 보급, 스마트 그린산단 구축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중앙정부, 지역 경제·산업계와 소통해 탄소중립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