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1천원 공영자전거’ 에…민간업자 "손님 뺏길라" 울상

입력 2021-05-30 17:15:55 수정 2021-05-30 21:43:57

市, 도심10개 지역에 무인 대여소 70여 곳 설치…300대 비치 계획
민간업자들 "공유 킥보드 타격도 컸는데"…市 "가급적 관광지에는 미배치"

경주시가 저렴한 이용료로 자전거를 빌려 탈 수 있는 공영자전거 시스템을 내년 3월까지 구축하기로 하면서 자전거·전동스쿠터 대여업을 하는 민간 사업자들의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김도훈 기자
경주시가 저렴한 이용료로 자전거를 빌려 탈 수 있는 공영자전거 시스템을 내년 3월까지 구축하기로 하면서 자전거·전동스쿠터 대여업을 하는 민간 사업자들의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김도훈 기자

경북 경주시가 1천원의 저렴한 이용료로 자전거를 빌려 탈 수 있는 공영자전거 시스템을 내년 3월까지 구축하기로 하면서 자전거·전동스쿠터 대여업을 하는 민간 사업자들의 불만이 쏟아지고 있다.

경주시는 최근 용강·황성·동천·성건·중부·황남·황오·월성·선도동과 현곡면 등 도심권 10개 지역에 무인 대여소 70여 곳을 설치해 공영자전거 300대를 비치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요금은 90분 기준으로 연회원 3만원, 월회원 5천원, 비회원 1천원 등으로 저렴하다. 초과 시 30분당 추가요금 500원이 부과되고, 대여와 반납은 스마트폰 앱이나 교통카드를 통해 손쉽게 할 수 있다는 게 경주시의 설명이다.

그러나 자전거 대여업을 하는 민간 사업자들은 매출감소를 우려해 반발하고 있다. 경주에는 여느 도시와 달리 자전거를 비롯한 개인용 이동수단을 빌려주는 대여점이 많다. 지역 내 40여 곳이 있는데, 3분의 2 정도가 황리단길·대릉원·시외버스터미널 등 주요 관광지가 밀집한 도심권에 있다. 공영자전거 대여소가 들어서는 중부·황남·황오·월성동이다.

이들 업체의 대여료는 자전거 1대당 2시간에 5천원 선. 경주시가 예산을 들여 운영하는 공영자전와는 가격 경쟁에서 뒤질 수밖에 없다는 게 업체 측 설명이다.

게다가 대다수 대여점은 전동킥보드를 함께 취급하는데, 올 들어 공유 전동킥보드 업체 3곳이 경주에 들어와 매출이 많게는 20%정도 줄었다고 한다.

황남동에서 대여점을 운영하는 A씨는 "코로나19로 매출이 크게 준 상황에서 공유 킥보드에 이어 공영자전거까지 도입되면 업계 피해는 불보듯 뻔하다"고 했다.

대여점 10여 곳이 밀집한 보문관광단지 내 업체들도 매출 감소를 우려하기는 마찬가지다. 이곳 한 대여점 대표는 "황리단길을 기준으로 보문단지까지는 약 10㎞ 정도로, 자전거를 타고 쉽게 오갈 수 있는 거리"라며 "어느 정도일지는 알 수 없지만 매출에 분명 영향은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경주시 관계자는 "기본 방침은 시민을 위한 생활형 공공자전거"라며 "가급적 관광지를 피해 대여소를 배치하는 식으로 민간 대여점 피해를 줄이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