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5·18 정신 계승해야" 한목소리…'5·18 개헌론' 탄력받나

입력 2021-05-18 17:18:32 수정 2021-05-18 20:56:32

여야 앞다퉈 광주 묘역 참배…"숭고한 정신 헌법에 새기자"

5·18 민주화운동 41주년을 맞은 18일 오전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왼쪽)와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정부 기념식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5·18 민주화운동 41주년을 맞은 18일 오전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왼쪽)와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가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정부 기념식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5·18 광주민주화운동 41주년인 18일 여야는 5월 영령을 추모하며 한목소리로 5·18 정신을 강조했다.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회의에서 "41년 전 오늘 무고한 광주시민들은 계엄군의 총칼에 희생됐다. 그러나 5월 영령과 광주시민께서 대한민국 민주주의를 이끌어내셨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주 영령의 넋을 기리기 위한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에도 힘쓰겠다"고 약속했다.

국민의힘도 5·18 정신을 되새기겠다고 강조했다.

배준영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5월의 광주는 지금도 41년 전의 아픔과 비극을 극복하는 과정에 있다. 국민의힘 지도부가 그동안 꾸준히 광주를 방문해 5·18 민주묘지를 참배한 것도 5·18 정신을 기리고 그 뜻을 받들겠다는 다짐"이라고 말했다.

이어 "국민의힘은 앞으로도 5월의 광주가 갈등을 완전히 이겨내고 통합과 화합의 정신으로 숭고하게 자리매김하는 그 날까지 역사적 책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광주를 직접 찾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과거와 미래를 잇는 5·18 정신을 계속 계승하는 것이 우리 세대의 책무"라며 "건국 이래 지금까지 민주주의의 명맥이 이어오는 것은 5·18이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5·18 민주화운동 41주년을 맞은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정부 기념식에
5·18 민주화운동 41주년을 맞은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정부 기념식에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해 99명으로 제한된 참석자가 자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담자는 '5·18 개헌론'도 여야를 불문하고 터져 나왔다.

이광재 민주당 의원은 "5·18 이념을 확실히 계승하기 위해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넣자"며 "40년 전 광주가 민주화를 위한 변화를 이끈 것처럼 이젠 기술 혁명을 통한 진보와 분배에 힘을 모으자"고 했다.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도 "(5·18 정신은) 이미 당 정강·정책에 다 들어가 있다. 개헌 논의가 이뤄지면 그런 부분이 다 토론이 될 것"이라며 "원포인트 개헌에 저는 찬성한다"고 말했다.

여야 대선주자들은 코로나19로 인한 기념식 인원제한 탓에 지난 16일부터 이날까지 개별적으로 민주묘역을 참배했다.

여권에선 이재명 경기도지사, 이낙연 전 민주당 대표, 정세균 전 국무총리, 김두관·박용진 민주당 의원이, 야권에선 원희룡 제주도지사, 유승민 전 의원이 앞 다퉈 광주에 집결했다.

특히 여권 대선주자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이 지사는 이날 "국가폭력범죄에는 반드시 공소시효와 소멸시효가 배제돼야 한다"며 "다시는 이 땅에서 반인권 국가폭력범죄가 발생하지 않도록, 누구도 반인권 국가폭력범죄를 꿈조차 꿀 수 없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재명 경기지사가 17일 전북대에서 열린 이세종 열사 추모식에서 당시 참상을 담은 영상을 보고 있다. 5.18 민주화 항쟁 첫 희생자인 이 열사 추모식은 매년 5월 17일에 열린다. 연합뉴스
이재명 경기지사가 17일 전북대에서 열린 이세종 열사 추모식에서 당시 참상을 담은 영상을 보고 있다. 5.18 민주화 항쟁 첫 희생자인 이 열사 추모식은 매년 5월 17일에 열린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