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백신 업계 "우선 상황 예의주시해야"…'신중론'이 지배적
미국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의 지식재산권(지재권) 면제를 지지한다고 밝히면서 국내 백신 생산 증가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 업계는 "당장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신중한 입장이다.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지재권 면제가 언제 시행될지, 특허에 대한 보호를 일시 유예한다면 그 기간은 얼마나 될지 등 불확실한 요인이 많다는 이유에서다.
화이자, 모더나 등 제약사가 미국 정부의 이런 방침에 동의할지, 동의한다면 어느 수준까지 특허 내용을 공개할지도 불투명하다.
특히 '지재권 면제'가 곧 '기술이전'을 뜻하지는 않는다는게 국내 업계의 입장이다.
또 국내에서는 화이자, 모더나 백신을 개발, 생산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설비를 완벽히 갖추고 있는 기업이 없는 것다는 점도 한계로 꼽힌다.
한편 코로나19 백신의 특허 등 지재권을 보호해주지 않겠다는 건 쉽게 말해 다른 제약사의 복제약 생산을 허용하겠다는 의미다. 오리지널 의약품을 개발한 제약사가 특허권 행사를 포기한다고 해서 이 제품을 개발하는 기술과 설비 노하우를 경쟁사에 모두 공개하거나 알려주지는 않는다.
댓글 많은 뉴스
[계엄 두 달]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때와는 다른 尹 지지율
홍준표 "역시 MBC는 못믿겠다…중요 발언 편파적 편집"
이준석 "케네디, 오바마도 40대에 대통령"…사실상 대선 출마 선언
尹 대통령 지지율 51%…탄핵 소추 이후 첫 과반 돌파
[단독] 문형배 탄핵안 발의, 국회 심사 시작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