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전초전' 참패한 민주당, 어떻게 활로 찾을까?

입력 2021-04-08 17:39:09 수정 2021-04-08 21:10:23

지도부 '재보선 패배' 총사퇴…도종환 비대위 체제로
16일 원내대표 경선 치른 뒤…내달 2일 전대서 당대표 선출
성찰·쇄신·민생 방점 두지만 오만·독선·불통 탈피 급선무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대표 직무대행과 최고위원들이 8일 국회에서 4·7 재보궐선거 참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총사퇴하며 허리 숙여 사과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대표 직무대행과 최고위원들이 8일 국회에서 4·7 재보궐선거 참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총사퇴하며 허리 숙여 사과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선 전초전'인 재·보선에서 참패한 더불어민주당이 어떻게 활로를 찾아갈지에 이목이 쏠린다.

민주당은 민심의 호된 심판을 받자 '성찰'을 외치며 '혁신'과 '민생'을 다짐하고 나섰지만, 흐트러질 대로 흐트러진 당 분위기 수습이 발등에 불일 정도로 충격에 휩싸여 있다. 책임론의 여진과 혁신 방향 등을 둘러싼 당내 이견과 갈등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여 갈 길이 급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먼저 민주당은 김태년 원내대표와 최고위원 등 지도부가 8일 재·보선 참패 책임을 지고 총사퇴했다. 전당대회 전까지 새 원내대표 중심의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운영하고, 원내대표가 선출될 때까지 친문(친문재인) 중진인 도종환 의원이 비대위원장을 맡는다. 비대위는 각 국정 분야별 책임자로 민홍철·이학영 의원, 초선의원으로 신현영·오영환 의원, 김영진 원내수석부대표, 박정현 대전 대덕구청장으로 구성했다.

새 당대표를 선출하는 전대는 애초 내달 9일에서 2일로 앞당겼다. 오는 16일에는 원내대표 경선을 치르고 당선자가 비대위원장 바통을 이어받는다.

당대표 대행인 김태년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기자회견에서 "새로 선출되는 지도부가 민심에 부합하는 혁신을 선도할 것"이라며 "국민께서 민주당에 많은 과제를 주셨다. 국민의 뜻에 따라 철저하게 성찰하고 혁신하겠다"고 말했다.

소속 의원들의 인식도 김 원내대표와 결이 비슷했다. 4선의 정성호 의원은 페이스북에 "(국민의) 경고가 아니라 엄중한 심판이고 총체적 불신임"이라며 "무거운 책임을 느끼고 반성한다"고 썼다. 이어 "당의 중진으로 민심과 동떨어지게 가는 당에 대해 쓴소리 한마디 제대로 못 한 잘못이 크고 죄송하다"고 고개를 숙였다.

박용진 의원은 라디오방송에 출연, "엄청난 패배며 민심의 큰 회초리라고 생각한다"며 "이것이 약이 되기를 기대하고 그렇게 할 수 있도록 당내에서 애를 많이 쓰겠다"고 말했다. 특히 "몇 마디 반성과 사과의 말로 민심의 엄청난 심판 분위기를 헤쳐나갈 수 없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한결같이 성찰과 쇄신, 민생에 방점을 두고 있지만 지도부 총사퇴라는 카드만으로 국민들이 회초리를 거둬들일지 의문인 만큼 구체적인 후속 방안이 뒤따르는 게 관건이라는 말이 나온다.

얼굴을 바꾸는 정도가 아니라 전면적인 체질 개선으로 분위기를 일신하고, 오만과 독선, 불통에서 벗어나 상생의 정치를 구현하는 게 급선무라는 얘기다. 이와 관련, 이른바 '대깨문', 친문(친문재인) 강경파와의 관계도 재설정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유권자를 뿔 나게 한 부동산 정책의 수정 등 민생을 보듬을 방안을 마련하는 것 역시 난제가 아닐 수 없다.

당의 한 중진의원은 "참패 원인이 워낙 많다 보니 하나하나 짚어가며 반성하는 것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며 "쇄신과 국민 눈높이에 맞는 정책을 만들기 위해 당 구성원들이 머리를 맞대야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