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도쿄올림픽 불참 발표…표면적 이유는 코로나19

입력 2021-04-06 16:45:08

일본의 대북 제재 연장 결정 맞춰 맞대응했다는 분석도 나와
외신들 "남북 접촉 기회 상실" 악재로 평가

북한의 도쿄올림픽 불참 선언으로 남북 대화 재개는 물론 일본과 북한의 관계 정상화도 더욱 어려워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사진은 도쿄 오다이바 해양공원에 설치된 올림픽 조형물의 모습. 연합뉴스
북한의 도쿄올림픽 불참 선언으로 남북 대화 재개는 물론 일본과 북한의 관계 정상화도 더욱 어려워졌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사진은 도쿄 오다이바 해양공원에 설치된 올림픽 조형물의 모습. 연합뉴스

북한이 코로나19 사태를 이유로 올해 7월 열릴 예정인 도쿄올림픽에 참가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북한의 하계 올림픽 불참은 1988년 서울 올림픽 이후 33년 만에 처음이다.

북한 체육성이 운영하는 '조선체육' 홈페이지는 6일 "조선 올림픽위원회는 총회에서 악성 바이러스 감염증에 의한 세계적인 보건 위기 상황으로부터 선수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위원들의 제의에 따라 제32차 올림픽 경기대회에 참가하지 않기로 토의 결정했다"고 공개했다. 총회는 지난달 25일 평양에서 화상회의 방식으로 열렸다. 당시 북한은 "조선올림픽위원회의 지난해 사업총화와 올해 사업 방향"을 논의했다고 보도했지만 올림픽 불참 여부는 밝히지 않았다.

이에 북한의 불참 결정에는 갈등이 이어지고 있는 북일 관계가 영향을 끼쳤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북한은 도쿄올림픽 성화 봉송 개시 당일인 지난달 25일 동해상에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고,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는 "용납할 수 없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공교롭게도 일본 정부는 6일 총리 주재로 각의를 열고 오는 13일 기한을 맞는 대북 제재조치의 2년 연장을 결정했다. 북한의 비핵화 및 탄도미사일 폐기가 구체화하지 않고, 일본인 납치 문제도 해결되지 않고 있는 점이 이유였다. 일본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차원의 제재와는 별개로 2006년부터 대북 압박정책으로 독자적 제재를 시작, 2년 단위로 연장해왔다.

이 때문에 북한이 일본 움직임을 보면서 올림픽 불참 발표 시점을 저울질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일본 언론들은 지난달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이후 대북 제재가 연장될 것으로 보도했다. 결국 일본의 강경한 입장에 북한이 스가 정권에 타격이 될 올림픽 불참 카드로 응수했다는 것이다.

북한의 올림픽 불참으로 스가 총리의 대북 관계 구상은 차질이 불가피해 보인다. 그는 여러 차례에 걸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만남을 통해 북한의 일본인 납치 문제를 풀고 궁극적으로 북일 관계 정상화로 이어간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한편 외신들은 북한의 올림픽 불참을 남북 접촉 기대에 대한 악재로 평가했다. AFP, AP통신 등은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가 남북 대화의 핵심 촉매제였다는 사실을 전하며 "이번 발표가 교착 상태에 빠진 남북 대화를 재개하려는 남한의 기대를 사라지게 한다"고 보도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