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최대 포털 사이트를 중심으로 김치에 이어 삼계탕을 자국 음식이라고 주장하는 이른바 '삼계탕 공정'을 펼쳐 논란이 되고 있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중국 최대 검색 포털 '바이두' 백과사전에서 '삼계탕(参鸡汤)'을 검색하면 '고대 중국 광둥(广东)식 국물요리'라는 설명이 나온다.
검색 결과에서 뚝배기에 담긴 삼계탕 사진과 함께 '삼계탕은 고려인삼·닭·찹쌀로 만든 고대 중국 광둥식 국물 중 하나로, 한국에 전파된 후 가장 대표적인 한국 요리 중 하나가 됐다'고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바이두 백과는 삼계탕이 중국 남부 광둥성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을 하면서도 문헌 기록 등의 근거는 전혀 제시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최근 중화TV에서 방영 중인 드라마 '금심사옥'에도 삼계탕을 등장했으며, 극중 등장인물이 "삼계탕은 쉽게 온 것이 아니다. 이 탕에 있는 인삼은 백년 묵은 인삼"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일제강점기 들어 닭백숙과 닭국에 가루 형태의 인삼을 넣는 '삼계탕'이 만들어졌고, 1960년대 이후 지금의 삼계탕 형태가 갖춰졌다.
국내에서 삼계탕이 대중적 인기를 얻기 시작한 시점은 1970년대 이후로 추정되며, 닭고기 안에 인삼·찹쌀·대추를 넣어 뚝배기에 끓여내는 요리법으로 해외에도 널리 알려진 지금의 삼계탕은 근대에 만들어진 한국의 대표 요리라는 설명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삼계탕의 HS코드를 관리하고 있는 반면, 중국은 삼계탕 HS코드 조차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HS코드는 모든 상품에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국제적 상품분류체계로 우리나라는 HS코드 번호 1602.32.1010으로 삼계탕(Samge-tang)을 분류하고 있다.
이에 네티즌들은 "김치부터 삼계탕까지 유명한 음식만 골라 자기네들 음식이라 우긴다" "천년이나 오백년 전 쯤 한국과 중국이 서로 문화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을지언정 삼계탕을 중국 음식이라 할 수 있나" "중국이 이러는 건 단순 문화 공정이 아니라 속셈이 있는 것 같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바이두가 중국의 한국 음식을 자국 음식이라고 주장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바이두 백과사전에는 김치를 두고 중국식 절임채소인 '파오차이'(泡菜)라며 김치가 중국에서 유래했다는 잘못된 정보를 올린 바 있다.
이에 중국 유명 유튜버 리쯔치도 배추김치를 담그는 영상을 올려 한·중간 김치 원조 논쟁에 기름을 부었다. 그는 지난 1월 9일 한국의 김장 방식으로 김치를 담그는 과정을 찍은 이 영상에 #Chinese Cuisine(중국 전통요리) #Chinese Food(중국 음식) 등 해시태그를 달았다.
이밖에도 바이두는 백과사전에 항일시인 윤동주의 국적을 중국으로 표기하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