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보급 빠른 미국 ↑…봉쇄 들어간 프랑스 ↓
코로나19 백신이 빠르게 보급되고 있는 미국 경제 성장률에 대한 전망치가 빠르게 상향 조정되고 있다. 이에 비해 백신 공급이 차질을 빚거나 코로나19 상황이 악화되는 프랑스, 독일 등에 대한 전망치는 오히려 악화되는 등 나라별로 희비가 엇갈리는 모습이다.
21일 블룸버그가 주요 투자은행(IB)과 경제연구소 등 80여 곳의 전망치를 집계한 결과 올해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기준 성장률은 평균 5.6%로 예상됐다. 이는 주요 20개국(G20) 국가 가운데 중국(8.4%)과 프랑스(5.7%)에 이어 3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올해 미국 성장률 전망치(블룸버그 집계)는 작년 12월 3.9%였으나 올해 1월 4.1%, 2월 4.9% 등에 이어 이달에는 5%대로 올라섰다. 조 바이든 행정부가 1조9천억달러 규모의 추가 경기부양책을 추진한 데다 마스크 착용 의무화, 코로나19 백신의 빠른 공급에 힘입은 바가 크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은 1회 이상 백신 접종자가 이미 전체 인구 20%를 넘어섰으며 접종이 끝난 인구도 전체 인구 10%를 훌쩍 넘어 약 4천만명에 달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이달 발표한 수정 경제전망에서 미국 성장률 전망치를 6.5%로 제시했다. 작년 12월에 발표한 종전 전망치는 3.2%였다. 최근 미 연방준비제도(Fed)도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4.2%에서 6.5%로 상향 조정했다.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평균 3.4%로 블룸버그는 집계했다. 작년 12월 3.15%에서 올해 1월 3.2%, 2월 3.3% 등 역시 상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캐나다(작년 12월 4.4%→올해 3월 5.3%)와 호주(3.5%→4.0%)도 경제 전망이 나아지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19가 다시 악화하는 상황에 처한 유럽연합(EU) 국가들은 경제 전망도 나빠지고 있다. 프랑스는 올해 성장률 전망치가 5.7%로 G20 국가 중 두번째로 높지만 작년 12월 6.0%에서 올해 1월 5.85%, 2월 5.75% 등 우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프랑스는 코로나19 확진자 수 증가로 이달 20일부터 파리를 비롯한 수도권에 3차 봉쇄조치를 내렸다.
코로나19 3차 유행이 두드러진 이탈리아도 성장률 전망치가 작년 12월 5.35%에서 이달 4.7%로 악화했고 독일(4.0%→3.5%)도 하향세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