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률 99%' 신한울 1호기, 5월 중 운영허가 날듯

입력 2021-03-17 17:47:29 수정 2021-03-17 21:20:21

4, 5월 원안위 회의 안건 상정…비상활주로 이전 문제 등 검토
허가 땐 연말에 상업운전 가능

신한울 1·2호기 전경. 매일신문 DB
신한울 1·2호기 전경. 매일신문 DB

공정률 99%에 도달한 경북 울진 신한울 1호기 원자력발전소가 늦어도 5월 중 운영허가가 난다는 전망이 조심스럽게 제기됐다.

원전 가동의 마지막 퍼즐인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 심사가 막바지에 접어든 만큼 더 늦출 명분이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신한울 1·2호기 건설 사업은 9조4천여억원이 투입된 초대형 프로젝트로 2010년 시작됐다. 1호기는 2018년 4월, 2호기는 2019년 2월까지가 사업기간이었지만 경주 지진 이후 시설 보강 등 이유로 늦어지고 있다.

운영을 위한 마지막 문턱은 원안위 허가다.

국내 원전 가동 여부를 결정하는 최고 의사기구인 원안위는 지난 연말부터 올해 초에 걸쳐 현장 조사 등 신한울 1호기 가동을 위한 사전검토 작업을 벌이고 있다.

여러 쟁점이 해소된 가운데 몇 가지 검토 사항만 남은 만큼 4, 5월쯤 원안위 회의에서 신한울 1호기 운영허가 안건이 상정될 것으로 기대된다.

남은 검토 사항으로는 신한울 1호기 반경 1㎞ 내에 있는 비상활주로 이전 문제 등이 거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국은 해당 비상활주로를 인근 울진공항으로 이전하는 등 해법을 찾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관련 법상 원전 주변에 있어서는 안 되는 군사시설에 비상활주로는 해당되지 않는다는 해석이 많아 위원들의 의지에 따라서는 큰 걸림돌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1호기 운영허가가 나면 8~10개월 정도 후 2호기 운영허가가 순차적으로 날 것으로 예상된다.

1호기의 경우 운영허가가 5월에 나면 같은 달 연료를 장전해 12월쯤 상업운전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하지만 이보다 늦어질 경우 막대한 기회비용이 상실되는 문제를 피할 수 없다. 이미 문재인정부의 탈원전 에너지 전환 정책에 따라 신한울 1·2호기는 계획보다 최대 4년 늦게 가동에 들어갈 처지다.

원자력발전소의 가동이 한 달만 늦춰져도 전력생산 손실, 각종 지역 지원비용 상실 등 경제적 피해가 상당한 게 현실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정부와 원안위 등을 상대로 신한울 1·2호기 조기 가동을 위한 설득 작업에 힘을 쏟고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