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발유·LPG 오르고, 항공권 유류할증료 다시 적용…도시가스·전기료도 상승압력
밥상물가가 고공행진하고 있는 가운데 에너지, 공공요금마저 들썩일 조짐을 보이고 있다.
국제유가 상승으로 석유류 가격이 오름세를 타고 있고, 전기·도시가스 요금 등 에너지 가격도 상승압력을 받고 있다.
10일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국내 휘발유 가격은 지난해 11월 말부터 15주 연속 상승했다. 3월 첫째 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 가격은 전주보다 9.7원 오른 ℓ당 1천483.0원으로 집계됐다.
국내 휘발유 가격 상승은 두바이유 가격이 가파르게 오른 것이 원인이다. 국내에 주로 수입되는 두바이유 가격은 연초 대비 30% 이상 오르며 지난 8일 배럴당 68.32달러를 기록했다.
액화석유가스(LPG) 가격도 지난해 중순부터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LPG 가스 수입사인 E1과 SK가스는 이달 국내 LPG 공급가격을 ㎏당 88원 인상했다. E1이 이달 발표한 국내 LPG 공급가격은 가정·상업용 프로판이 ㎏당 1천6.8원, 산업용 프로판 ㎏당 1천13.4원, 부탄 ㎏당 1천398.96원 등이다.
국내 LPG 충전소 평균 판매가격도 올랐다. 석유공사의 유가정보서비스 오피넷에 따르면 지난해 5월 ㎏당 895.7원이던 일반프로판은 지난달 ㎏당 1천120.47원까지 뛰었다. LPG는 가정 난방용이나 식당 등 영세업종, 택시 연료 등에 많이 쓰여 '서민의 연료'로 불린다.

유가 상승으로 도시가스 도매요금도 인상됐다.
가스공사에 따르면 상업용(업무난방비, 냉난방공조용, 산업용, 수송용)과 도시가스 발전용(열병합용, 연료전지용 등) 도매요금은 원료비 연동제를 반영해 2월 요금보다 메가줄(MJ) 당 1.0545원 올랐다. 주택용, 일반용은 동결됐다.
지난겨울 동아시아 전역에 몰아친 기록적인 한파에 도시가스 연료인 액화천연가스(LNG) 소비량이 급증하면서 LNG 가격이 일시적으로 상승한 데 따른 것이다.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도 커졌다.
올해부터 LNG, 석탄, 유류 등 연료비 변동분을 3개월 단위로 반영하는 전기요금 연료비 연동제가 시행되며 국제유가 상승이 하반기 전기요금 인상 압력이 가해지고 있다.
항공권에 부과되는 유류할증료도 올랐다.
저유가 기조로 지난해 5월부터 부과되지 않았던 국내선 유류할증료는 9개월만인 올해 2월 다시 부과됐다.
올 2~3월 국내선 유류할증료는 1단계가 적용돼 편도 기준 1천100원의 유류할증료가 부과됐고, 4월에는 2단계인 편도 2천200원으로 오를 예정이다.
국제선 유류할증료도 다음달부터 부과될 것으로 보인다. 국제선 유류할증료는 지난해 4월부터 부과되지 않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