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금관 나온 경주 ‘금관총’, 현대적 전시 공간으로 재탄생

입력 2021-02-24 14:13:23

연말까지 ‘보존전시공간’ 조성

금관총 보존전시공간 예상도. 경주시 제공
금관총 보존전시공간 예상도. 경주시 제공

경북 경주에 있는 신라고분 '금관총'이 현대적인 전시 공간으로 재탄생돼 올해 안에 일반에 공개된다.

경주시는 사업비 64억원을 들여 노서동 금관총 부지 일대에 연면적 1천461㎡, 지상 1층 규모의 '금관총 보존전시공간'을 조성하고 있다.

금관총은 일제강점기인 1921년 민가 증축공사 중 신라금관이 국내 처음 발견돼 붙여진 이름이다. 당시 이곳엔 금관을 비롯해 장신구·무구(武具)·용기 등 3만 점이 넘는 유물이 출토됐다.

발견 당시 유구의 상당부분이 이미 파괴돼 있었고 정식 발굴된 것이 아니어서 고분의 구조 등에 관해서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지금은 고분 일부 형태만 남아 있다. 경주시는 인근에 '금관총'이라는 표지석을 세우고 일대를 사적 제39호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

경주시는 지난 2016년 금관총 복원사업을 시작한 이후 3차례에 걸친 설계자문 회의와 발굴조사, 설계공모, 문화재청의 설계승인 등을 거쳐 2019년 1월 복원을 위한 첫 삽을 떴다.

시는 금관총을 옛무덤 형태로 복원한 천마총 등과는 달리 지붕을 제외한 외벽 대부분을 유리로 마감한 원형의 현대적 건축물로 새롭게 설계했다. 올 연말 금관총 보존전시공간이 완공되면 금관총에서 나온 다수의 유물과 교육·홍보 자료를 내부에 전시할 계획이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현재 남아 있는 금관총 고분을 최대한 훼손하지 않기 위해 2차례에 걸쳐 설계안을 변경하는 등 보존에 중점을 뒀다. 시설이 완공되면 대릉원 일대를 찾는 관광객에게 신라 고분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는 의미 있는 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금관총 보존전시공간 예상도. 경주시 제공
금관총 보존전시공간 예상도. 경주시 제공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