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낙동강하류 상수원서 ‘발암물질’ 검출 市 "기준치 이하, 무해"

입력 2021-02-21 12:26:30

기준치 8.6~22.9% 가량 과불화옥탄산 검출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부산 수돗물에서 발암 가능 물질이 검출돼 시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부산시는 검출량이 기준치 이하로 인체에 무해하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최근 수돗물 상수원인 낙동강 하류 물금·매리 취수장과 화명·덕산 정수장 등의 원수 및 정수에서 발암 가능 물질인 과불화옥탄산(PFOA)이 검출됐다고 21일 밝혔다.

국제암연구소가 발암 가능 물질(2b)로 분류하고 있는 과불화옥탄산은 프라이팬의 코팅제, 아웃도어 제품의 발수제, 자동차 코팅제 등으로 사용되는 물질이다.

이번에 정수장 원수와 정수된 수돗물에서 검출된 과불화옥탄산의 농도는 0.006~0.016㎍/ℓ였다. 부산시는 "먹는 물 수질 기준치인 0.070㎍/ℓ의 8.6~22.9% 수준으로, 인체에 거의 해가 없다"고 설명했다.

시는 지난해 5월 양산천에서 역류해 물금까지 영향을 미친 '1,4-다이옥산 사태' 이후, 정수 기준의 20%가 넘는 '1,4-다이옥산' '과불화화합물' '나이트로사민류' 등이 발견되면 이를 공개하고 있다.

앞서 과불화화합물은 지난 2018년 6월 대구와 부산지역 취수장에서 발견되면서 환경부와 관련 지자체가 주요배출원인 산업체와 공장 등의 배출을 차단했으나, 현재도 미량이 계속 검출되고 있어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갈수기에는 그 농도가 증가하는데 올 겨울철 강수량이 적고, 상류 보와 댐의 방류량이 예년보다 적어 이번 과불화옥탄산 검출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이 같은 미량화학물질이 지속해서 검출되자 정수장 입상 활성탄 교체 주기를 3년에서 1년으로 줄이고, 초고도 정수 시스템인 나노 여과막 등을 도입하는 등 대책을 추진 중이다.

아울러 취수장 주변의 오염원 관찰을 강화하고 있다. 시는 또 취수장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매리취수장 내 국가 연구기관인 '낙동강 하류 국가 수질안전센터'를 건립, 운영할 예정이다.

이병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매리 지역에 미량화학물질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고 분석하는 전문 국가기관이 설립·운영되면 부산은 물론 김해·양산·울산 등 인근 지역 취수원도 안정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